리치앤코 'MZ세대 설문조사', 2명 중 1명이 ‘거의 모든 금융서비스를 언택트로 이용’
언택트 이용 보험서비스는 ‘보험금 청구’, ‘자동차 보험 가입’, ‘미니 보험 가입’ 順
디지털 기기와 비대면 환경에 능숙한 ‘MZ세대(1980년대~2000년대 초반 사이 출생자)’가 금융 관련 서비스 역시 언택트 방식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보험대리점 리치앤코(대표 한승표)가 모바일 리서치 기관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 남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MZ세대 2명 중 1명(약 51%)이 금융 서비스의 90% 이상을 언택트 방식으로 이용한다’고 답했다.
MZ세대로 대표되는 20~30대들은 비대면 방식으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 거부감이 없다는 것, 더 나아가 이를 일상적인 행동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을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 응답자들은 ‘보험’도 주로 언택트 방식으로 이용한다고 답했다. ‘언택트 방식으로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보험 서비스(복수응답)’를 묻는 질문에는 보험금 청구(63%)가 가장 많아 1위를 차지했고, 2위가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 가입(40%), 3위가 미니보험 가입(37%) 순으로 꼽혔다. ‘언택트 방식으로 보험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없다’는 답변은 16%에 불과했다.
‘보험 상품 비교 등의 보험 서비스가 점차 언택트로 전환될 것 같은가’라는 질문에 ‘매우 그럴 것이다(59%)’, ‘다소 그럴 것이다(28%)’ 등 긍정적인 답변이 과반수 이상으로 집계됐다. 향후 ‘언택트 보험 시장이 유망할 것 같은지’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이 85%에 육박했다.
언택트 서비스 이용 빈도를 묻는 질문에서 더 나아가 ‘언택트 방식으로 일하는 것’에 대한 선호도 조사도 함께 실시했다. ‘언택트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영업 직군)에 지원할 의향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3명 중 1명이 ‘그렇다’고 답해 언택트 방식으로 일하는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엿볼 수 있었다. 이어 지원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고객을 직접 만나지 않아도 되는 언택트 상담 업무의 장점’(67%)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방식을 선호하는 세대답게 전통적인 대면 보험 상담 업무와는 차별화되는 비대면 영업 방식에 매력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배현정 기자 bae.hyunj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못 찍어 후회" 분통 터뜨린 부산 시민들, 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갈아타기 포기할래요"…수십억 '계약파기' 속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