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화물이 실적 차이 갈랐다"…대형항공사·LCC 양극화는 심화 중
- 델타 변이까지 확산되며 LCC 살길 찾기 요원해져

“수백억 원대 영업손실”…대형항공사·LCC간 양극화 심화

두 항공사의 실적 약진에는 화물 운송이 큰 역할을 했다. 2분기 화물사업 부문 매출에서 대한항공은 전년 대비 23.2% 증가한 1조5108억원을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 또한 같은 기간 화물 부문에서 11% 증가한 7082억원의 성과를 냈다.
반면 LCC들의 재무상태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국내 상장 LCC 4개사(제주항공·진에어·티웨이항공·에어부산)는 2분기에 각각 수백억 원대의 영업손실을 냈다. 별도 재무제표 기준 제주항공은 올해 2분기 매출 745억원, 영업손실은 708억원을 기록했고, 진에어 역시 매출 634억원에 영업손실 488억원을 기록했다. 티웨이항공은 매출 568억원과 영업손실 348억원, 에어부산은 매출 477억원에 영업손실 494억원을 나타냈다.
화물이 실적 가른다는데…LCC업계가 주춤할 수밖에 없는 이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발 빠르게 화물 사업에 집중한 덕에 수혜를 입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코로나19로 항공 여객 수요가 줄자 화물 사업을 강화하며, 여객 없이 화물만 실은 화물전용 여객기를 65개 노선에서 운항했다. 아시아나항공도 A350·B777 개조 및 화물임시편 투입 등을 통해 수익성 제고에 힘써왔다.
그러나 화물 전용기가 없는 LCC들에겐 득이 될 것이 없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LCC도 유휴 여객기 등을 활용해 화물 운송을 확대하고 있지만, 여객기에 의존하는 화물 운송만으로 수익성을 올리기는 역부족이다. 게다가 여객기로 운송할 수 있는 화물 품목은 제한적이고, 새로 화물 전용기를 도입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국내선 운항 확대했는데도 '부족'…LCC 살길은?

상황이 이렇다 보니 LCC들은 무상감자 및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에 나설 전망이다. 제주항공은 다음달 액면가 5000원의 보통주를 액면가 1000원으로 감액하는 무상감자와 약 21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한다. 진에어는 1084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750억원의 영구채를 발행한다.
증권가에서는 이러한 시도 등으로 LCC업계의 재무 불확실성이 완화될지 주목한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들어 제주항공과 진에어가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유동성과 자본잠식 리스크는 피크를 지났다”며 “이번 자본확충을 통해 내년 상반기 해외여행 시장이 반등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재무체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마지막 고비”라고 설명했다.
임수빈 인턴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