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르4’ 전 세계 동시 접속자 수 80만명 돌파

미르4를 해외 출시한 지난 8월 말 위메이드의 시가총액 순위는 50위권이었다. 그런데 한 달여 만인 14일엔 콘텐트업계 대기업인 CJ ENM마저 넘어섰다. 이제 코스닥 상장사 중 위메이드보다 시가총액이 많은 콘텐트 기업은 펄어비스(4위)와 카카오게임즈(6위)만 남게 됐다.
이날 주가가 상한에 가깝게 오른 건 미르4의 전 세게 동시 접속자 수가 80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이 업체가 2005년 기록한 종전 최고 기록(‘미르의 전설2’)을 16년 만에 갈아치운 것이다. 업체 측은 글로벌 버전 출시 36일 만에 서버 수가 11개에서 100개 이상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접속자가 세계 각지에 고르게 분포한단 점도 눈에 띈다. 아시아 서버가 64개로 가장 많지만, 북미(32개), 남미(21개), 유럽(13개), 인도(6개) 지역의 서버 개수도 적잖다. 유성만 리딩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아시아권에 국한돼 있는 미르 IP(지적재산권)가 글로벌 게임 IP로 변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상민 전 장관 집서 거액 현금 발견…커지는 의혹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 강력한 규제 예고…李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