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항하던 변액보험, 순자산 넉달간 4조 증발…상승세 꺾인 이유
변액보험 순자산액, 10월18일 기준 111조…6월 대비 4조원↓
증시 조정기·대출규제·금리인상기 등 여러요인 겹치며 변액보험 매력도 하락 중
보험사 변액보험 순자산이 하락세다. 증시 호황을 타고 지난해 중순 이후부터 치솟던 변액보험 순자산액은 지난 7월부터 상승세가 한풀 꺾이면서 넉달간 약 4조원이 하락했다.
보험업계에서는 조정기에 돌입한 증시, 금리 인상기조 상황에서 내년까지 변액보험 성장세가 주춤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 최근 대출 규제도 변액보험 해지율을 높일 것이란 전망이다.
상승세 멈춘 변액보험, 내년 전망도 '우울'
변액보험 순자산액은 지난해 증시가 활활 타오르기 시작한 2분기부터 급등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월 변액보험 순자산액은 약 104조원이었지만 2~3월 '증시 쇼크'가 찾아오며 100조원대가 무너졌다. 이후 2분기부터 증시가 상승세를 타자 변액보험 순자산액도 증가하기 시작해 지난해 연말에는 110조원을, 올 상반기에는 115조원을 돌파했다. 1년 이상 이어오던 변액보험 순자산액 상승세가 올 하반기부터 꺾인 셈이다.
변액보험은 보험료 중 일부를 주식 등 투자성 자산에 투자한 뒤 수익금을 계약자에게 돌려주는 상품으로 증시 상황에 따라 순자산액 변동이 클 수 있다. 현재 변액보험은 국내주식 외에도 해외주식, 부동산 등 투자처가 다양하지만 국내 증시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큰 편이다. 실제로 변액보험 순자산액은 지난해 증시가 하락세일 때 함께 하락했고, 호황일 때는 상승세를 보였다.
향후 전망도 좋은 편은 아니다. 보험연구원은 내년 변액저축성보험의 수입보험료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변액보험은 전통적인 보험시장과 반대로 보장성 변액보험은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고 저축성 변액보험, 특히 변액유니버셜 저축성보험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상황이다. 이에 보험사 변액보험의 성장세를 정확히 보여주는 지표는 변액저축성보험이라고 할 수 있다.
보험연구원은 내년 보험사들이 거둘 변액저축성보험 수입보험료를 15조1000억원으로 추정, 올해 추정치(15조9000억원)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변액저축성보험 수입보험료 증가율은 -2.3%였지만 올해는 3.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내년 증가율은 -4.7%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했다.
보험연구원은 내년 변액보험 수입보험료 전망 관련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투자상품 선호 확대로 변액보험 신규 판매는 양호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면서도 "기존 계약의 이탈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업권 투자형 상품과의 경쟁 확대와 변액보험의 주식시장 민감도 약화는 감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 투자상품 선호도가 상승했지만 증시 조정기, 타 투자상품과의 경쟁 측면 등 여러 요인으로 변액보험 성장세가 주춤할 것이란 전망이다.
대출규제에 '변액보험 해지율'도 상승하나
최근 금리가 인상기조로 돌입한 것도 변액보험 순자산액 하락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부터 저금리가 지속되며 안전자산 투자가 아닌 비안전자산 투자로 눈을 돌린 투자자가 늘었다. 특히 지난해 주식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적극적인 자산 운용을 통해 수익률을 끌어올리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변액보험은 인기였다.
하지만 금리가 인상기조에 돌입하면 투자자들이 점차 안전자산 투자처로 눈길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 이러면 변액보험은 신규가입자 유치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다.
이미 올 2분기 변액보험 신계약 건수는 10만3232건으로 올 1분기 대비 14.5% 하락했다. 특히 저축성보험인 변액유니버셜보험은 신계약이 같은기간 36%나 감소했다. 하반기에도 금리인상 기조와 함께 증시 조정 돌입 등 시기상, 변액보험 신계약이 늘어나기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도 변액보험에겐 악재다. '대출길'이 막힌 대출 난민들이 자금마련을 위해 기존 가입한 저축보험, 변액보험 등을 해지할 수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올 상반기 가계대출액이 한계치에 도달하자 하반기부터 대출 조이기에 나서고 있다. 변액보험 순자산액이 올 7월부터 본격적으로 하락세를 탔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혀 상관관계가 없다고 보기 어렵다.
조영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당국은 이미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추진하고 있고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하는 중"이라며 "여러가지 대출 제약 때문에 변액보험 해지율이 상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애플의 中 사랑?…팀 쿡, 올해만 세 번 방중
2 “네타냐후, 헤즈볼라와 휴전 ‘원칙적’ 승인”
3“무죄판결에도 무거운 책임감”…떨리는 목소리로 전한 이재용 최후진술은
4中 “엔비디아 중국에서 뿌리내리길”…美 반도체 규제 속 협력 강조
5충격의 중국 증시…‘5대 빅테크’ 시총 한 주 만에 57조원 증발
6이재용 ‘부당합병’ 2심도 징역 5년 구형…삼성 공식입장 ‘無’
7격화하는 한미사이언스 경영권 갈등…예화랑 계약 두고 형제·모녀 충돌
8“이번엔 진짜다”…24년 만에 예금자보호 1억원 상향 가닥
9로앤굿, 국내 최초 소송금융 세미나 ‘엘피나’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