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3분기 영업이익 2883억원
지난해 3분기보다 48.8% 증가

롯데케미칼은 3분기 실적에 대해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원재료가 상승과 국제 물류비 증가로 인해 주요 제품의 스프레드(원료와 최종 제품의 가격 차이)가 축소됐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및 반도체 수급 이슈 등으로 인한 전방 산업의 수요가 위축되면서 수익성이 감소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과 경쟁사 증설 압박에 따라 주요 제품의 스프레드는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LC USA의 경우 높은 원가경쟁력을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의 기초소재 사업 내 올레핀 사업 부문의 3분기 매출액은 2조1326억원, 영업이익 1489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2분기보다 증가했으나 원재료인 납사 가격 상승과 아시아 지역 내 신증설 물량 유입 등으로 수익성을 다소 줄었다. 아로마틱 사업 부문의 3분기 매출액은 6024억원, 영업이익은 119억원을 기록했다. 견조한 제품 수요로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원료가 상승 및 경쟁사 증설 물량의 유입 등으로 영업이익은 감소세를 보였다는 게 롯데케미칼 측의 설명이다.
이 회사의 첨단소재 사업은 3분기에 매출액 1조2566억원, 영업이익 76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분기에 이어 상승세를 보였으나, 반도체 공급 차질에 모빌리티‧IT(정보기술)‧가전 등 전방 산업의 수요 감소와 PC(폴리카보네이트)의 원료가 상승으로 수익성은 소폭 하락했다.
롯데케미칼타이탄은 3분기에 매출액 6199억원, 영업이익 270억원에 그쳤다. 동남아 지역 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전방 산업의 가동률이 하락한 데다,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비용이 반영돼 2분기보다 수익성이 하락했다.
LC USA의 3분기 매출액은 1525억원, 영업이익은 418억원으로 집계됐다. 롯데케미칼 측은 “높은 원가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요 강세 및 제품가 상승에 따라 견조한 실적을 이어나갔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국제유가 고공 행진 및 권역 내외의 신규 증설 물량 유입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은 상존할 것으로 보이나, 글로벌 경제 회복과 제조업 경기 개선에 따른 화학제품 수요 증가 및 신흥국 전력난으로 반사 수혜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또한 “인도네시아 라인(LINE)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추진 및 HPC(올레핀 석유화학공장) 가동 시작 등 국내외 사업 확대를 통한 경쟁력 강화 추진과 더불어 올해 7월 발표한 2030 수소 성장 로드맵에 따른 수소 사업 협력 및 배터리 전해액 유기용매 생산 시설 투자, 국내 최초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공장 신설 등 친환경 미래 사업을 계획대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세청도 참전…‘年 10조원’ 세무환급시장, 어디까지 커지나
2韓기업 떨고 있니?...한반도 침투하는 차이나머니
3'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4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5"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6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7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8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9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