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통계청은 9월 산업활동동향을 통해 전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가 113.1(2015년=100)로 전월보다 1.3% 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7월과 8월 각각 0.7%, 0.2% 감소하던 지수는 3개월 만에 반등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도 2.5% 증가하며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로 서비스업 생산이 늘고 소비가 증가하는 등 내수가 호조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가운데서도 숙박·음식점(10.9%)의 생산이 전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운수·창고(4.5%) 등의 생산도, 도소매업(0.7%) 생산도 증가세를 보이며 회복 분위기를 나타냈다.
그러나 광공업 생산은 0.8% 줄며 지난 8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광공업 생산 중 제조업 생산이 0.9% 감소하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감소폭 또한 7월 0.1%, 8월 0.4%와 비교해 커졌다. 이에 이번 발표에서는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제조업 생산 부진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이 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첫 정상 통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출 규제는 맛보기”… 李대통령, 강력한 부동산 대책 예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