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SK에코플랜트, 2022년 조직개편·임원인사 단행…환경사업 조직 확대·최적화
- Corp. Strategy 센터 신설, 비즈니스 모델 혁신·IPO 추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중심 젊은 인재 대거 발탁

SK에코플랜트가 2022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를 2일 단행했다. 이번 조직개편은 환경·에너지 솔루션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는 ‘파이낸셜 스토리’의 조기 달성을 위해 전사차원의 역량을 결집했다.
SK에코플랜트는 핵심 전략에 맞춰 총 11개의 BU(Business Unit) 및 센터 체제로 전환했다. 특히 환경사업은 ▶에코비즈Dev.(Development) BU ▶에코플랫폼 BU ▶에코랩 센터로 확대 재편했다. 에코비즈Dev. BU는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 추진을 모색한다. 에코플랫폼 BU는 인수한 환경 자회사 간 시너지를 강화하고, 신기술 도입을 통한 환경산업 고도화에 집중한다. 에코랩 센터는 혁신기술을 발굴, 개발, 육성하는 환경 생태계 플랫폼을 조성하고, AI(인공지능)와 DT(디지털 전환) 기반 환경 솔루션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
Corp.(Corporate) Strategy 센터도 신설했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고 2023년 기업공개(IPO)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밖에 기존 사업부문은 ▶에코에너지 BU ▶에코스페이스 BU ▶에코솔루션 BU ▶에코엔지니어링 BU 등으로 변경된다.
SK에코플랜트는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를 활용한 볼트온 전략에 따라, 올해 폐기물 소각기업 6곳을 인수했다. 볼트온 전략이란 사모펀드(PEF)가 하나의 기업을 사들인 뒤 그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른 연관 기업을 인수해 시너지를 내도록 하는 것이다.
세계적인 연료전지 제작사인 미국 블룸에너지에도 투자했으며, 해상풍력기업 삼강엠앤티 경영권을 확보했다. 기존 건설업 역량을 기반으로 연료전지사업과 더불어 해상풍력까지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인사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40대 젊은 인재 및 여성을 대거 발탁했다. 회사 측은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과 성과가 입증된 구성원을 조기 발탁했다”며 “임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인재를 지속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이번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하며 성공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및 IPO 추진을 위한 핵심 역량을 결집했다”며, “앞으로 ESG경영을 선도하고 파이낸셜 스토리를 조기에 완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이 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첫 정상 통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출 규제는 맛보기”… 李대통령, 강력한 부동산 대책 예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