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종식돼도 여행은 불안하다”…여행 욕구마저 ‘뚝’
엠브레인, 1000명 대상으로 여행 욕구 조사
10명 중 6명, ‘예전 같은 여행 형태 어렵다’ 답해
대다수는 인파 많은 곳 여행에 심리적 거부감 느껴
![](/data/ecn/image/2021/12/15/ecnc594e2a7-adbc-489d-86aa-0924c359f1c7.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종식한다고 해도 여행 가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지속해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이 지난 11월 23일부터 28일까지 국내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위드 코로나 이후 여행 욕구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가 종식되더라도 여행에 대한 본능적인 거부감이 들 것 같다고 답한 응답자가 지난 5월 21.6%에서 11월 35.7%로 증가했다. 또 예전 같은 형태의 여행이 더는 가능할 것 같지 않다고 답한 이는 지난 5월 49.9%에서 11월 59.2%로 늘었다.
여행에 대한 심적 부담감도 큰 것으로 나왔다. 전체 응답자의 81.4%가 향후 여행 계획을 세울 때 코로나 감염 우려가 영향을 줄 것 같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야외 활동 위주의 여행이라도 여전히 코로나 감염 위험성을 무시할 수 없으며(85.6%), 인파가 많은 곳으로의 여행에 심리적 거부감이 있다(82.1%)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상대적으로 고연령층일수록 감염 위험성을 더 많이 우려하고, 심리적 거부감도 훨씬 컸다.
![](/data/ecn/image/2021/12/15/ecn829843d6-a688-4aaa-9829-608c823a60f7.jpg)
여행 대신 근교 나들이 즐기고 드라마 몰아보고
평소 같았으면 여행을 갈 시기에 여행 대신 선택했던 활동으로는 ‘집에서의 휴식(69.2%, 중복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집 근처 나들이(42.4%)’와 ‘드라마 몰아보기(36%)’ ‘가까운 곳으로의 드라이브(35.8%)’ 순으로 여행을 가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미크론으로 다시 불거진 코로나19확산세에 해외여행 길은 어려움에 부닥쳤다. 외교부는 15일, 한시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던 해외입국자 자가격리 10일 의무를 내년 1월 6일까지로 연장할 것을 발표했다. 다만 트래블 버블 협약을 체결한 싱가포르와 사이판에서 입국하는 여행객은 격리 면제를 유지하는 대신 PCR 음성확인서 요건을 강화한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남녀불문' 234명 성 착취한 '목사'…33살 김녹완 신상 공개
21월 세계 식량 가격 1.6% 내려…두 달 연속 하락세
3‘막차 타자’…세종시 아파트 무순위 청약에 120만명 몰려
4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연일 최고가’ 찍는 금값
5국내 여행만 5억건 넘었다…춘절(春節)의 경제학
6 쇼트트랙 대표팀, 하얼빈 AG 혼성 계주서 대회 첫 금메달
7전세보증금 15억 가로챈 다세대주택 임대인, 항소심서 감형
8특급 호텔 뷔페 ‘20만원 시대’…10분의 1 가격에 가성비 뷔페 즐기자
9주유소 휘발윳값 17주만에 소폭 내려…국제유가 하락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