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60대 근로자 부담스러운 기업들…“인건비 부담 커, 신입 뽑기도 어려워진다”
- 경총 기업 인식조사 실시, 기업 10곳 중 6곳 정년연장 부담
인건비 부담과 신입채용 어려워질 것 우려

기업 10곳 중 6곳 정년연장 부담…"인건비 때문에"
특히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정년 연장에 부담을 느꼈다. 5~99인 기업은 부담된다는 답변 비율이 51.5%였고, 100~299인 기업은 60.2%, 300~999인 기업은 58.4%였다. 1000인 이상 기업은 71.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정년연장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들은 가장 큰 부담으로 ‘연공급제로 인한 인건비 부담(50.3%)’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현 직무에서 고령 인력의 생산성 저하(21.2%)’, ‘조직 내 인사적체(14.6%’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는 ‘임금피크제 도입 또는 확대’가 3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는 ‘임금체계 개편(20.8%), ‘고령인력 배치 전환(14.3%)’, ‘고령자 직무능력향상 교육 실시(14.2%)’ 순으로 조사됐다.
정년연장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기업 중 53.1%는 신규채용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신규채용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6.9%에 불과했다. 특히 신규채용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전망한 응답률은 노조가 있을수록, 기업 규모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고령자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기업 인지도는 저조한 편이었다. 60세 이상 고령자고용지원금(52.8%), 임금피크제 지원금(52.0%) 인지도는 50%를 겨우 넘었고, 고령자 고용환경 개선 융자(10.9%)와 신중년 적합직무 장려금(23.4%), 고령자 계속고용 장려금(43.8%)은 인지도가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기업들의 30%는 정부가 고령자 고용지원제도의 홍보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또 고령인력 활용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인건비 지원’이 28.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고령자 근로계약 다양성 확보를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25.9%를 차지했다.
이형준 경총 고용·사회정책부장은 “지금은 60세를 초과하는 정년연장을 포함해 기업 부담을 가중시키는 정책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고민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50억 도쿄집’ 추성훈, 3000만 현금 들고 다니는 ‘플렉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민·에일리·심현섭, 오늘(20일) 결혼… 연예인 하객들 바쁘겠네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