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지금껏 본 적 없는 ‘대출 한파’ 온다 [2021 금융업계 리뷰-부채 규제]
- 코로나19 이후 연간 100조원씩 불어나는 가계부채
은행권, 하반기부터 본격적 대출 조이기 시작
당국, '상환 능력 있는 자만 대출 가능' 관행 만든다

은행들도 당국 보폭에 맞춰 대출 관리에 들어갔다. 우대금리를 없애고 한도를 축소하고, 급기야 대출을 중단하기도 했다. 은행업계는 내년은 더 심한 대출 한파를 예상한다. 금융당국 주도로 지금껏 보지 못한 규제가 시행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당국은 이번 기회에 ‘상환 능력 있는 만큼만 받는 대출’ 문화를 정착하겠다는 입장이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잡히지 않는 대출 증가세
이에 금융위원회는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대출 잡기에 나섰다.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인 5~6%대가 지켜지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각 은행에 부동산대출 등을 관리하도록 했다. 이에 농협은행을 시작으로 각 시중은행들이 우대금리 축소와 한도 조정, 부동산 대출 중단 조치 등을 내놨다.
금융위는 급기야 2023년까지 예정된 대출 규제를 내년에 조기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등 선진국처럼 ‘상환 능력 있는 차주가 대출을 받는다’는 관행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규제의 최종 목적으로 풀이된다. 이에 금융위는 10월 26일 가계부채 관리 대책을 통해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RS) 40% 적용의 단계별 이행 시기를 내년 시행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고객이 매매가 6억원의 아파트를 구매할 시 30년 만기 담보대출로 대출금 4억원을 받을 경우, 금리 2.9%를 적용하면 매년 상환해야 하는 원리금은 2000만원 가량(1998만원)이다. 여기에 DSR 40%를 적용하면 연 소득이 최소 5000만원 이상이 돼야만 4억원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문제는 현 DSR 규제는 부동산만 아니라 신용대출 등 대부분의 대출을 모두 합산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존에 다른 대출이 있으면 최대 가능 대출액은 줄어든다.
금융위는 이런 방식으로 차주별 DRS 적용 대상을 강화해 내년 1월부터 개인의 총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할 경우, 내년 7월부터는 1억원을 초과할 경우 적용하기로 했다. 원래 계획은 내년 7월부터 2억원 초과 시부터, 2023년 7월부터 1억원 초과 시부터였다.
대출 1억원만 있어도 DSR 규제 영향권에

금융위의 계획대로 1월부터는 약 263만명이 DSR 40% 규제에 적용되고 7월부터는 593만명이 영향권에 들어갈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미 억대의 주담대를 받은 상태라면 일반적인 봉급 생활자는 앞으로 다른 대출을 추가로 받는 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1억원 초과 차주 가운데 수입이 상대적으로 적은 20대와 60대는 추가 대출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전세대출이다. 금융당국이 지난 10월 26일 가계대출 규제 조기 시행 발표를 하면서 전세대출은 실수요자 대출로 판단해 규제에 포함하지 않았다. 하지만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전세대출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당국은 전세대출 증가 추이를 보고 이 부분도 규제에 묶을 가능성을 시사한 상황이다. 은행업계는 전세대출을 잡지 않으면 현재와 같은 가계대출 증가세는 줄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1년 12월)에서 규제 영향이 작은 전세대출과 집단대출 등은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계대출 증가와 부실화 동반될 우려도↑
은행업계는 여전히 코로나19 확진 증가세가 강한 데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가 풀리지 않으면서 생활자금 필요 등으로 대출 수요가 쉽게 줄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업계는 금융당국이 중소기업 및 개인사업자 대출, 중금리대출은 규제에서 제외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대출 부실화 염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도 우려한다.
아울러 금리상승도 대출 부실화를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올해 8월과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인상한 데 이어 내년 초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대출 잔액 1060조9000억원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은 전체의 75.5%(801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금리 잔액 비중을 기준으로 대출 금리가 0.25%만 올라도 대출자의 이자는 2조원이 증가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 증가율이 잡힌다고 해도 은행이 우려하는 부분은 대출 부실 확대”라며 “앞으로 다수의 대출자가 대출을 받지 못한다 해도 신용도가 낮은 차주들에게는 대출 문이 여전히 열려 있는 상황이다. 아무래도 금리 상승기라 대출의 질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