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1인 가구 늘면서 월세 거주도 증가…10명 중 4명 월세살이

미혼 가구수가 1인 가구의 절반(50.3%) 넘어
60세 이상 5명 중 1명은 스스로 생활비 마련

 
 
서울 종로구 평창동 단독주택 밀집 지역.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1인 가구 10명 가운데 4명이 월세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가구·주택 특성 항목’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664만3000가구였다. 이는 전체 가구(2092만7000가구)의 31.7%에 해당한다. 1인 가구의 수는 직전 조사인 2015년 대비 143만2000가구(27.5%) 늘었다. 남자는 42.7%, 여자는 15.3% 증가했다. 특히 29세 이하 청년층 1인 가구가 52.9% 늘며 증가폭이 컸다.
 
지난해 1인 가구 주거 형태를 살펴보면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가 273만5000가구(41.2%)로 가장 많았다. 이는 2015년 조사 대비 53만9000가구(24.6%) 늘어난 수치다. 이 밖에 자기 집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34.3%, 전세 거주가 17.5%였다.
 
1인 가구를 혼인 상태로 구분하면 미혼 가구수는 334만1000가구로 1인 가구의 절반(50.3%)을 넘어섰다. 이어 사별(20.5%), 이혼(16.1%), 배우자있음(13.2%) 순이었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미혼·만혼 인구가 늘어 1인 가구에서도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들이 혼자 사는 이유는 본인 직장(34.3%) 때문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가족 구성원이 학업·결혼 등으로 타지에 거주하며 혼자 살게 된 경우는 17.0%, 가족과 사별해 혼자 사는 경우는 15.5%였다. 
 

1인가구 거주유형 단독주택>아파트>오피스텔·고시원 순

성인(20세 이상) 1인 가구 가운데 절반 이상(53.3%)은 본인의 일이나 직업으로 생활비를 마련하고 있었다.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도 5명 중 1명(20.6%)은 본인이 직접 생활비를 마련했다. 국가의 보조를 받는 1인 가구는 7.8%, 금융자산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가구는 7.1%를 차지했다.
 
거주 규모별로 보면 1인 가구 중 109만5000가구(16.5%)는 방 한 칸짜리 집에 살았다. 이에 비해 1인 가구 가운데 거실을 포함해 방이 4칸 이상인 집에 거주하는 사람도 34.3%에 달했다. 통계청은 이혼이나 사별로 혼자 살게 된 사람도 있지만, 주거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1인가구는 단독주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43.9%로 가장 높았다. 아파트는 32.0%를 차지했으며, 오피스텔이나 고시원 등 주택 이외의 거처에서 생활하는 비율은 10.8%였다. 2015년과 비교해 1인가구의 아파트(5.3%포인트)와 주택 이외의 거처(2.5%포인트)에 거주하는 비율은 높아졌다. 이에 비해 단독주택의 거주비율은 8.4%포인트 낮아졌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벌써 4년차…하림 프리미엄 ‘더미식’ 자리 못 잡는 이유

2“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주의 강화 하나

3통념과는 다른 지침, '창업' 꿈꾸는 이에게 추천하는 이 책

4AI에 외치다, “진행시켜!”… AI 에이전트 시대 오나

5한국에도 중소도시의 새로운 기회가 올까

6로또 1146회 1등 당첨번호 ‘6·11·17·19·40·43’,…보너스 ‘28’

7“결혼·출산율 하락 막자”…지자체·종교계도 청춘남녀 주선 자처

8“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소통에 나설 것”

9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실시간 뉴스

1벌써 4년차…하림 프리미엄 ‘더미식’ 자리 못 잡는 이유

2“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주의 강화 하나

3통념과는 다른 지침, '창업' 꿈꾸는 이에게 추천하는 이 책

4AI에 외치다, “진행시켜!”… AI 에이전트 시대 오나

5한국에도 중소도시의 새로운 기회가 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