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늘면서 월세 거주도 증가…10명 중 4명 월세살이
미혼 가구수가 1인 가구의 절반(50.3%) 넘어
60세 이상 5명 중 1명은 스스로 생활비 마련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가구·주택 특성 항목’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664만3000가구였다. 이는 전체 가구(2092만7000가구)의 31.7%에 해당한다. 1인 가구의 수는 직전 조사인 2015년 대비 143만2000가구(27.5%) 늘었다. 남자는 42.7%, 여자는 15.3% 증가했다. 특히 29세 이하 청년층 1인 가구가 52.9% 늘며 증가폭이 컸다.
지난해 1인 가구 주거 형태를 살펴보면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가 273만5000가구(41.2%)로 가장 많았다. 이는 2015년 조사 대비 53만9000가구(24.6%) 늘어난 수치다. 이 밖에 자기 집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34.3%, 전세 거주가 17.5%였다.
1인 가구를 혼인 상태로 구분하면 미혼 가구수는 334만1000가구로 1인 가구의 절반(50.3%)을 넘어섰다. 이어 사별(20.5%), 이혼(16.1%), 배우자있음(13.2%) 순이었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미혼·만혼 인구가 늘어 1인 가구에서도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들이 혼자 사는 이유는 본인 직장(34.3%) 때문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가족 구성원이 학업·결혼 등으로 타지에 거주하며 혼자 살게 된 경우는 17.0%, 가족과 사별해 혼자 사는 경우는 15.5%였다.
1인가구 거주유형 단독주택>아파트>오피스텔·고시원 순
거주 규모별로 보면 1인 가구 중 109만5000가구(16.5%)는 방 한 칸짜리 집에 살았다. 이에 비해 1인 가구 가운데 거실을 포함해 방이 4칸 이상인 집에 거주하는 사람도 34.3%에 달했다. 통계청은 이혼이나 사별로 혼자 살게 된 사람도 있지만, 주거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1인가구는 단독주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43.9%로 가장 높았다. 아파트는 32.0%를 차지했으며, 오피스텔이나 고시원 등 주택 이외의 거처에서 생활하는 비율은 10.8%였다. 2015년과 비교해 1인가구의 아파트(5.3%포인트)와 주택 이외의 거처(2.5%포인트)에 거주하는 비율은 높아졌다. 이에 비해 단독주택의 거주비율은 8.4%포인트 낮아졌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2"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3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4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5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6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7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8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
9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