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통신 3사도, 오픈마켓 쿠팡도 단통법 준수 미흡
단통법 개정 나섰지만 현장에선 실효성 두고 ‘갸웃’

쿠팡의 단통법 위반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공론화됐다. 당시 정필모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단통법은 공시지원금의 15% 범위에서만 혜택을 제공하게 돼 있는데, 쿠팡은 이를 훨씬 넘는 액수의 지원금을 줬다”고 지적했다. 이후 방통위는 약 한 달에 걸쳐 현장조사를 진행했고, 법 위반 사실을 적발했다.
오픈마켓이 단통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법의 적용 대상은 주로 이동통신 3사와 유통 매장에 한정됐다. 쿠팡은 이동통신 사업이 주요 매출처가 아니다.
그간 자급제 방식으로 스마트폰 단말기를 팔던 쿠팡은 지난해 7월 ‘로켓모바일’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유통 시장에 발을 담갔다. 이때부터 KT와 LG유플러스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휴대전화 개통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그럼에도 쿠팡이 제재 대상이 됐다는 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동통신업계 관계자는 “단통법은 2014년 시행돼 현장에 정착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법”이라면서 “한국의 아마존으로 꼽히는 빅테크 기업인 쿠팡이 관련법을 검토하지 않았을 리 없고, 몰랐다 하더라도 제재에 따른 타격은 과징금 1800만원으로 치명적이지 않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이동통신 유통 시장을 장악한 이통3사가 단통법을 잘 지키지 않는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방통위 심결서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법이 시행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이통3사마다 각각 8~10건의 불법 보조금 관련 위반 사항이 적발됐다. 이에 따른 과징금 총액은 1384억원이다.
2014년부터 꾸준히 위반을 적발했음에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기업들이 단통법을 큰 위협으로 판단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 혜택 차별을 막기 위한 법 취지까지 이미 유명무실해졌다는 거다.
정부는 유통점 추가 지원금 한도를 상향하고 공시 주기를 단축하는 방향으로 법을 개정해 시장 경쟁을 활성화하겠단 방침이지만, 현장에선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동통신업계 관계자는 “가입자를 뺏고 뺏기는 시장에선 법을 준수하는 것보다 어겨서 점유율을 늘리는 게 이득이 크다”면서 “5G 상용화한 이후 새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나올 때마다 불법·편법적 단말기 지원금을 뿌리는 관행이 반복되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