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기업 약 54% "2022년 경영기조는 현상 유지”…경총, 243곳 조사
- 한국경영자총협회, 2022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결과 발표
응답 기업 39.1%, 경제 큰 제약으로 '각종 규제정책' 꼽아

2022년 경영계획 수립을 완료했거나 경영계획 초안을 짠 기업들의 50% 이상이 경영 기조를 ‘현상 유지’로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전국 30인 이상 기업 243곳을 대상으로 한 ‘2022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중 내년도 경영계획의 최종안을 확정했다고 답한 기업은 11.1%였다. '초안을 수립했다'고 답한 기업은 53.5%였으며,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는 기업은 35.4%였다.
내년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주로 '현상 유지'(53.5%)에 집중할 것이라고 답했다. '확대경영'이라고 답한 기업은 23.6%, '긴축경영'이라는 응답은 22.9%로 나타났다.
채용 계획에 대해선 응답기업의 63.7%가 '올해 수준'을 꼽았으며, '축소'를 택한 비율은 10.8%였다. 확대하겠다는 기업은 25.4%에 그쳤다. 경총은 "올해 4% 수준의 경제성장 전망을 경기회복의 신호보다는 지난해 역성장(-0.9%)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반등으로 해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업계 전반의 디지털 변화에 따른 인력 수요 변화와 관련해서는 응답 기업의 61.8%가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감소를 예상한 기업은 27.8%였다.
응답 기업들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최근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치(3%대)보다 다소 낮은 2.7%로 내다봤다. 경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 확산과 공급망 불안 지속 등 대내외 불확실성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해석했다.
또 기업들은 정부의 각종 규제 정책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제약으로 응답 기업들의 39.1%가 '각종 규제 정책'을 꼽았다. 이어 '저출산·고령화, 양극화 심화 같은 사회·구조적 문제'(25.1%), '주력 산업 경쟁력 약화와 신성장동력 부재'(19.3%), '반기업 정서 만연 등에 따른 기업가 정신 위축'(15.2%) 등의 순이었다.
차기 정부에 원하는 세제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경제 활성화, 국민부담 경감 등을 위한 감세 정책'(54.5%)이 가장 많았다. '증세·감세 논의보다 비과세·감면 축소, 면세점 조정 같은 세제 합리화가 더 시급'(33.5%), '복지 재원 확충 등을 위한 증세 정책'(12.0%) 등의 의견도 있었다.
임수빈 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