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 1주만 있어도 다 빼"…'사모펀드 악몽'에 놀란 은행들
은행권 유독 펀드 상품에서만 결벽증 보여
사모펀드 불완전판매 사태 '현재진행형' 영향 커

다수 은행, 오스템 관련 펀드 판매 중단
은행권에선 가장 먼저 하나은행이 지난 5일 ‘삼성코스닥1501.5배레버리지증권[주식-파생형]CE펀드’를 비롯해 투자 자산에 오스템임플란트가 1주라도 담긴 77개 펀드에 가입한 고객들에게 안내 문자를 발송, 신규 가입 중단을 안내했다. 하나은행은 안내문을 통해 “대규모 횡령사건으로 코스닥시장에서 거래가 중지된 '오스템임플란트' 주식종목을 1% 미만 편입하고 있다”며 “사후관리 차원에서 해당 펀드의 신규가입을 중단한다”고 전했다.
이후 각 시중은행과 외국계은행이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펀드 판매를 중단했고,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까지 관련 펀드 가입을 중단하기로 했다. 은행 외에도 미래에셋·한국투자증권·NH투자·KB증권 등 증권사들도 마찬가지 결정을 내린 상황이다.
이례적 대응에 업계 “사모펀드 사태가 만들어낸 현상”
특히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나 신탁 상품이 아닌 상장지수펀드(ETF) 등과 같은 펀드 상품이 판매 중단 리스트에 오른 것을 두고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사모펀드의 불완전판매를 우려한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금융감독원은 현재도 라임펀드와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독일 헤리티지펀드, 디스커버리펀드 등과 관련해 은행권 제재심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하나은행에 대한 사모펀드 제재심 결과를 내리지 않고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에 대한 우리은행 DLF 사태 징계와 관련해 항소를 제기한 상황이다.

당시 법원은 금감원이 제기한 펀드 판매와 관련한 내부통제기준 준수 미비에 대해 “‘내부통제기준 마련 의무’ 위반이 아닌 ‘내부통제기준 준수 의무’ 위반으로 금융회사나 그 임직원에 대하여 제재를 가할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 현재 은행업계에는 손 회장 외에도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이 같은 이유로 금감원과 행정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판매사의 문제를 확대 해석해 CEO까지 펀드 판매의 책임을 물은 것”이라며 “펀드 사태와 관련한 금감원의 태도에 결국 은행권의 펀드 판매 위축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오스템임플란트 공시에 따르면 직원 이모 씨의 횡령 금액은 1880억원에서 2215억원(자기자본대비 108.18%)으로 확대됐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