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매도 규정 내놓고 자회사 통제 강화하지만
14일 카카오 상장 4개사 주가 일제히 하락 중

카카오 계열사를 총괄하는 조직인 공동체 얼라인먼트센터(CAC)는 모든 그룹사 임원을 대상으로 한 주식 매도 규정을 13일 마련했다. 임원이 보유한 주식을 상장 이후 최대 2년간 팔 수 없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해 받은 주식이라도 예외를 두지 않는다.
현행법보다 강한 규정을 마련한 건 최근 불거진 논란 때문이다. 지난해 말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와 경영진 7명은 스톡옵션으로 확보한 주식 44만주를 처분해 약 900억원을 벌어들였다. 이를 두고 증권업계에선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걸 스스로 인정하고 먼저 팔아치운 것 아니냐”며 비판했다.
하지만 새로 마련한 규정으로 카카오 상장사 주가가 오를 가능성은 당분간 적어 보인다. 경영진의 돌발 행동으로 손실을 본 개인투자자들은 이미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이번 일처럼 경영진 다수가 한꺼번에 보유 주식을 판 건 시가총액 상위에 있는 기업 중에선 전례가 없던 일이다.
실제로 14일 오전 11시 기준 카카오(-3.00%)·카카오뱅크(-3.48%)·카카오페이(-2.04%)·카카오게임즈(-1.41%) 등 상장 4개사의 주가 모두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류영준 대표가 있는 카카오페이 주가는 올해 들어 지난 13일까지 9거래일 동안 15.76% 떨어졌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훈 KIC CIO 내달 임기 끝인데…연임 가능성 '모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일간스포츠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 룰 포함' 상법 개정안, 법사위서 여야 합의처리(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