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금통위 예상보다 강했다
물가상승과 美 조기금리 인상 고려
연내 추가 금리인상 한 차례냐 두 차례냐 갈려

이주열, 금리 인상 시그널 시장과 충분히 소통하기로
하지만 한은은 계속해서 추가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뜻을 시사하면서 예상보다도 더 강한 '매파적(긴축)' 기조를 드러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이 오늘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성장과 물가의 현 상황과 앞으로 전망을 고려해보면 지금도 실물경제 상황에 비해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고 있는 것은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지속되고 있고, 가계부채 리스크가 여전히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까지 기존 예상보다 빠른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특히 한은은 지난해 11월 올해 연간 물가성장률을 2.0%로 전망했는데, 예상보다 높은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자 이번에는 기존 전망치를 웃도는 연간 2%대 중반 수준을 상회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시장에서 1.50~1.75% 정도에서 기준금리 기대 수준이 형성돼 있는 것 같다”며 “금통위의 생각과 시장의 기대 사이의 간격이 크다면 적극적으로 소통해가면서 간극을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즉 현 상황에서는 시장에서 예상하고 있는 기준금리 1.50~1.75% 사이의 전망치가 한은의 목표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 셈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2월 금통위가 이 총재 임기 마지막 회의라는 점에서 향후 대선 결과와 신임총재 취임 이후 기조에 따라 상황은 변할 수 있지만, 적어도 이번 금통위에서 현 정책기조나 여건을 유지하기 위한 토대는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1차례는 기본, 2차례는 여건에 맞춰’
한은은 예외적인 ‘빅컷’이 아니라면 한번에 0.2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올려왔기 때문에 추가 금리인상이 한 차례냐 두 차례냐에 따라 1.50%냐 1.75%냐가 갈릴 전망이다.
윤 애널리스트는 “아직도 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는 쪽에 무게가 실리면서 ‘1차례는 기본, 2차례는 여건에 맞춰’ 라는 인식이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번 금통위 이후로 1.75%를 점치는 시각이 더욱 많아진 모양새다.
이날 교보증권은 2022년 말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최종수준 전망치를 1.50%에서 1.75%로 상향조정했다. 이 총재가 기자간담회를 통해 내놓은 발언 등을 종합해보면 연말까지 '1차례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는 것이다.
김상훈 KB증권 애널리스트도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에 따라 시장에서는 2023년 인상이 당겨지며 연말 기준금리 전망이 1.50%에서 1.75%로 높아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다운 기자 kim.daw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어떻게 알고...삼부토건, 압색 사흘 전 짐 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 강력한 규제 예고…李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