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신화] 김경한 주칭다오 총영사, RCEP 중·한 경제협력 새로운 도약 가져올 것

[신화] 김경한 주칭다오 총영사, RCEP 중·한 경제협력 새로운 도약 가져올 것

(중국 지난=신화통신) 왕카이 장우웨 기자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1일 한국에서 정식 발효됐다. 김경한 주칭다오(靑島) 대한민국 총영사는 최근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한 수교 30주년인 올해 RCEP의 정식 발효가 중·한 경제 무역에 새로운 도약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영사는 2021년 중·한 양국 간 경제 무역이 호조를 보이며 코로나19 이전 상태로 회복됐다고 밝혔다. 그는 RCEP의 정식 발효가 중·한 양국을 포함한 회원국 간 경제 교류와 협력을 더욱 강화시켜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RCEP 발효는 현재 글로벌 경제무역의 중심이 동아시아로 이동하고 있으며 동아시아가 새로운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 총영사의 말이다.
이어 그는 RCEP 15개 회원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일본 등 한국의 중요한 무역 파트너도 여기에 참여하고 있어 한국의 양·다자 간 무역은 물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처한 세계 경제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영사는 RCEP 발효 이후 일부 무역 상품의 관세가 인하돼 중·한 양국은 물론 한국과 기타 회원국의 다자 간 무역 편리성이 크게 제고되고 중·한 산업 공급망도 한층 다변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김 총영사는 "특히 RCEP의 누적원산지 조항이 수출량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며 "RCEP이 지식재산권(IP)을 효과적으로 보호해 중·한 무역을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한국 기업과 교민이 많은 산둥(山東)성에선 RCEP 발효로 중·한 경제협력의 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의 통계를 보면 지난 2020년 말 현재 산둥성 소재 한국 기업은 약 4천500개로 교민 수가 약 5만3천 명에 달했다. 산둥성 소재 한국 기업 중 50% 이상이 칭다오에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김 총영사는 "옌타이(煙台)의 중·한산업단지, 웨이하이(威海)의 중·한경제협력시범구, 칭다오의 보세물류단지 등이 RCEP을 기반으로 중·한 경제협력을 뒷받침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공식 홈페이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중·한 수출입 총액은 3천623억5천1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6.9% 증가했다. 그중 수출과 수입액이 각각 32.4%, 23.3% 늘어난 1천488억6천400만 달러, 2천134억8천7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2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3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4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5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6‘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7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8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9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실시간 뉴스

1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2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3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4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5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