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동치는 철광석 값에 “유지” vs “인하”

3일 철강‧조선업계 등에 따르면 이들 업계의 후판 가격 협상은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눠 1년에 2번 진행된다. 통상 상반기 후판 가격 협상은 조직 내 인사이동, 설 연휴 등을 감안해 2월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올해 상반기 협상은 2월 말이나 3월 초쯤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늦어도 3월 초에는 협상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철광석 값 놓고…조선 “하향 안정” vs 철강 “최근 급등”
이를 두고 철강업계에선 지난해 말부터 철광석 가격이 또 다시 급등하고 있어 후판 가격 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최근 들어 철광석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 올해 상반기에도 지난해 하반기 수준의 후판 가격을 유지해야 한다는 게 철강업계의 시각”이라며 “실제 조선업계에서도 철광석 가격 인상 등을 감안해 소폭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조선업계에선 최근 철광석 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1년 새 가격 흐름을 보면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라는 지적이 많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최근 철광석 가격이 오름세인 것은 맞지만, 톤당 200달러 이상까지 올랐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하향 안정세라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철강업계가 지난해 철광석 급등을 무기로 후판 가격을 대대적으로 인상한 만큼, 올해엔 가격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철강‧조선업계는 지난해 상‧하반기에 걸쳐 후판 가격을 톤당 50만원 인상하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최대 실적” vs “대규모 수주”
이에 대해 철강업계는 “철광석 가격 급등뿐 아니라 연초부터 조 단위 수주를 이어가는 조선업계 호황을 고려하면 생존을 위한 가격 인하 요구는 과도한 주장”이라고 선을 그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를 제외하면 수 년간 조선업 생존을 위한 대승적 관점에서 후판 가격을 동결해왔다”며 “연초부터 대규모 수주를 이어가고 있는 조선업계가 생존을 위해 후판 가격 인하를 요구하는 것은 과도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월 한 달 동안 약 4조2000억원, 대우조선은 약 3조원 규모의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이 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첫 정상 통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출 규제는 맛보기”… 李대통령, 강력한 부동산 대책 예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