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수급난 발생하면 어떻게 하나

정부 에너지 확보 방안 논의 TF 회의 잇따라
에너지 수급 차질 시 비축유 우선 방출 추진
석유·석탄·천연가스 다른 외국서 대체 확보키로

 
 
미국 노스다코타 주 워트퍼드(Watford City)에 있는 한 유정에서 천연가스를 태우는 모습. 미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유럽에 천연가스 공급이 차질이 없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AP=연합뉴스]
러시아의 파병으로 우크라이나 전운이 다시 고조되자 우리 정부도 긴급회의를 열고 대응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경제계 핏줄인 에너지 수급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정부는 에너지 수급 차질 시 비축유를 방출하고 이와 동시에 석유·석탄·천연가스 등에 대해 다른 국가들에게서 대체 물량을 확보하는 방안을 가동하기로 했다.  
 
정부는 23일 금융위원회·기획재정부·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금융감독원 등 관련 정부 부처들과 우크라이나 사태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전망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대응 방안을 강구했다. 
 
23일 열린 '민관합동 제20차 산업자원안보 TF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실물경제 긴급 점검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23일 ‘민관합동 제20차 산업자원안보 TF회의’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실물경제 긴급 점검 회의를 가졌다. 기획재정부도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 회의’를 열고 우크라이나 사태 추이를 파악하고 부문별 동향과 조치계획 등을 논의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특히 우리 경제의 혈액이라 할 수 있는 에너지 수급에 대한 관리방안을 중점 논의했다”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축유를 공급하고 다른 해외 경로를 통해 대체물량을 확보하는 계획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지난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회의. [연합뉴스]

한국 액화천연가스 수입량 세계 3위

우크라이나 사태는 휘발유 등 국제 유가 상승을 계속 자극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 수급 상황도 불안해지고 있어 자칫 국내 수입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천연가스 재고가 급감하고 가격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에너지 수급에 비상이 걸리면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 경제가 발목을 붙잡힐 수 있다. 우리나라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량은 세계 3위에 꼽힌다.  
 
세계 에너지 기업 쉘(Shell)이 발표한 ‘LNG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경제가 코로나 사태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지난해 전 세계 LNG 거래량이 전년보다 약 6% 늘어난 3억8000만t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이 가운데 한국의 LNG 수입량은 4000만t 중반으로 중국(7900만t), 일본(7000만t)에 이어 세계 3위 수입국으로 꼽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유럽이 천연가스 공급의 약 30%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로 천연가스 재고량이 줄고 가격이 불안정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돼 유럽이 국제 LNG 물량을 대량으로 끌어갈 경우 아시아에서 LNG 현물가격의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메릴랜드주 러스비에 있는 액화천연가스(LNG) 공급관. [REUTERS=연합뉴스]

비상 시 국제공동비축 우선구매권 확보 추진  

이에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수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비축유를 방출하고 다른 국가들로부터 대체 물량을 확보하기로 했다.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3일 제20차 산업자원안보TF에서 이 같은 계획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반도체산업협회·조선해양플랜트협회·자동차산업협회·석유화학협회·철강협회·석유공사·가스공사·남부발전·대한상의·무역협회·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무역보험공사 등 에너지와 주요 수출품 관련 기관들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석유와 석탄을 각각 미국·북해·중동·호주·남아공·콜롬비아 등에서 대체 도입하고 천연가스는 카타르·호주·미국 등지에서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비축유를 방출하고 국제공동비축 우선구매권 확보도 추진할 계획이다.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금융제재가 강화될 경우 업종별 협회·은행 등을 포함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수출신용보험·보증 무감액 연장을 비롯해 가지급·신속보상 등을 운영해 우리 기업들의 수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수출 피해가 발생하면 특별 금융지원도 부처와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에클스턴 전 F1 회장 내놓은 69대 경주차 매물 ‘8866억 원’ 추산

2세계 전기차 업계 한파 매섭다…잇단 공장 폐쇄·직원 감축

3'삼성동 집 경매' 정준하..."24% 지연손해금 상식적으로 말 안 돼"

4‘연구원 3명 사망’ 현대차 울산공장·남양연구소 11시간 압수수색

57조 대어 LG CNS, 상장 예심 통과…“내년 초 상장 목표”

6윤 대통령 “백종원 같은 민간 상권기획자 1000명 육성할 것”

7삼성전자, 반도체 위기론 커지더니…핫 하다는 ETF 시장서도 외면

8롯데 뒤흔든 ‘위기설 지라시’…작성·유포자 잡힐까

9박서진, 병역 면제 논란…우울·수면 장애에 가정사까지?

실시간 뉴스

1에클스턴 전 F1 회장 내놓은 69대 경주차 매물 ‘8866억 원’ 추산

2세계 전기차 업계 한파 매섭다…잇단 공장 폐쇄·직원 감축

3'삼성동 집 경매' 정준하..."24% 지연손해금 상식적으로 말 안 돼"

4‘연구원 3명 사망’ 현대차 울산공장·남양연구소 11시간 압수수색

57조 대어 LG CNS, 상장 예심 통과…“내년 초 상장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