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CEO UP|이석우 두나무 대표] 1년 만에 매출 21배 성장…올해는 글로벌 진출 원년으로
- 지난해 매출 3조7055억원…전년比 21배 성장
“3년 내 글로벌 종합 거래 플랫폼 거듭날 것”

지난달 25일 카카오는 주요 관계기업 재무정보를 공시하면서 두나무의 지난해 영업수익(매출)으로 3조7055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2020년(1767억원)보다 1997% 급증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2조2343억원으로 2020년(464억원)보다 4710%나 늘었다. 카카오는 두나무 지분 15.33%를 갖고 있다.
실적의 중심엔 2017년 문을 연 업비트가 있다. 설립한 지 4년 만인 지난해 10월 누적 가입자 수가 890만명을 넘어섰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대금을 기준으로 한 시장 점유율은 80%에 달한다.
덕분에 2020년 말부터 시작된 암호화폐 투자 열풍 덕을 가장 크게 봤다. 지난해 5월 한때 업비트에서 하루 동안 거래된 금액이 약 45조원에 달하기도 했다. 업비트는 거래대금에서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떼서 수익을 낸다.
암호화폐 시장에만 기대고 있지 않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지난해 12월 기자 간담회에서 ▶가치 극대화 ▶다변화 ▶글로벌화 등을 핵심 가치로 한 도약을 선언했다. 가능한 한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투자자가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간담회에서 향후 3년을 시한으로 내걸었다. 이 대표는 “향후 3년 간,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이 모이고, 관심의 공통분모가 되는 자산의 적정 가치가 발견되고, 원활히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종합 거래 플랫폼”을 강조하며 “국내에서 큰 관심과 사랑을 받은 만큼 글로벌에서도 주목받는 두나무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체불가토큰(NFT) 시장이 첫 단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두나무는 지난해 11월 엔터테인먼트기업 하이브와 합작사 설립을 위한 지분교환을 했다. NFT를 포함한 신규 사업을 함께 추진하겠다는 것이 내용이었다. 이 대표는 올 초 한 매체 인터뷰에서 “올해 상반기에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미국에서 NFT 거래소를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렇게 얇은 폰은 처음!"…갤S25 엣지, 슬림폰 열풍 일으킬까[잇써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우승 위해 떠난 게 아닌 남은 선수’ SON 향해 현지 매체도 찬사 “벽화로 기려져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렇게 얇은 폰은 처음!"…갤S25 엣지, 슬림폰 열풍 일으킬까[잇써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모태펀드 존속 불확실성 해소될까…이재명 공약에 업계 주목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지투지바이오, 특허무효심판 피소…상장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