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미 FTA 10년…對美 무역 규모 66% 커졌다

FTA 특혜 관세 품목, 수출 비중의 43%
지난해 3분기 우리 기업의 누적 미국 투자액 174억 달러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11일 서울 삼성동 무역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 10주년 세미나'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10년 동안 양국 무역 규모는 66% 늘고 교역은 3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미 FTA 체결 첫해인 2012년 1018억 달러였던 양국 간 무역 규모가 지난해 1691억 달러로 66.1%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전 세계 무역 규모가 1조675억 달러에서 1조2595억 달러로 17.9%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한미 양국 교역이 FTA의 효과를 톡톡히 누린 셈이다.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2012년 585억 달러에서 959억 달러로 61.1% 늘었고 수입은 433억 달러에서 732억 달러로 69.0% 증가했다. 대미 무역수지는 10년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2012년 기준 대미 무역수지는 152억 달러였는데 지난해에는 227억 달러를 기록했다.  
 
상위 10대 수출 품목 가운데 무선통신기기를 제외한 전 품목의 수출이 늘었다. 건전지 및 축전지는 634.6%, 반도체는 246.6% 증가했고 컴퓨터와 합성수지는 각각 259%, 244.9% 늘었다.  
 
상대국에 대한 투자도 지속해서 확대됐다. 외국인직접투자(FDI)를 보면 미국은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나라로 꼽혔다. FTA 발효 후 미국의 한국 투자액은 총 482억 달러로, 발효 전(2002~2011년 누적)보다 98% 증가했다.
 
우리 기업도 미국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대미 투자 누적액은 지난해 3분기까지 1130억 달러로, 발효 전 대비 282% 늘었다.
 
이유진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수석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한·미 FTA 10주년 평가와 과제’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지적한 무역적자는 상품 무역에만 국한된 것”이라며 “양국 간 교역은 기존의 상호보완적인 구조가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FTA 특혜관세 품목이 수출액 가운데 43% 차지

 
지난해 양국 무역 규모는 1691억 달러로 2020년 기준 1316억 달러보다 28.5% 증가했다. 수출은 959억 달러로 29.4% 늘었고, 수입은 732억 달러로 27.3%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한미 FTA 특혜관세 품목 수출 비중이 컸다는 점이다. 특혜관세 품목 수출액은 413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43%를 차지했다. 이는 한미 FTA 발효 시점인 2012년보다 220.4% 늘어난 규모다.
 
다만 지난해 무역만 놓고 보면 우리나라와 미국의 투자 현황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미국의 한국 투자액은 52억6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0.9% 감소했지만, 한국의 대미 투자 3분기 누적 기준 174억 달러로 79.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구경찰, "정부 비자금 유통 투자하면 고수익 보장" 거액 가로챈 일당 검거

2경주시 "올 하반기부터 시내버스 위치정보 초 단위로 확인한다"

3영천 보현산댐 출렁다리 방문객 단기간에 50만 명 돌파

4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청주센트럴2차’ 6월 분양 예정

5건설 불황에도 DL이앤씨 현금 유동성‧재무안정성 입증 

6“상쾌하고 달콤해”...오비맥주, 애플 사이더 ‘엘파’ 출시

7“기술 혁신에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8DL이앤씨, ‘30년 인연’ 새만금 건설 시장 주목

9제주 아세안+α 대상국간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실시간 뉴스

1대구경찰, "정부 비자금 유통 투자하면 고수익 보장" 거액 가로챈 일당 검거

2경주시 "올 하반기부터 시내버스 위치정보 초 단위로 확인한다"

3영천 보현산댐 출렁다리 방문객 단기간에 50만 명 돌파

4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청주센트럴2차’ 6월 분양 예정

5건설 불황에도 DL이앤씨 현금 유동성‧재무안정성 입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