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상자산 불법 거래 ‘사상 최대’ 17조원
체이널리시스,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 전문 공개
지난해 가상자산 총 거래 금액 15조8000억 달러…전년 대비 550% 증가
북한 미세탁 가상자산 1억7000만 달러…랜섬웨어 피해액 러시아 비중 74%


하지만 불법 주소가 이용된 거래는 전체 가상자산 거래의 0.15%로 2020년 0.62%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체이널리시스는 “가상자산 총 거래 금액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가상자산 관련 범죄는 법 집행기관의 수사 역량 향상으로 범죄 비율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법무부가 비트파이넥스 해킹 사건과 연루된 36억 달러(약 4조3621억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압류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또한 지난해 말 기준 도난 자금은 98억 달러(약 11조8766억원)로 총 범죄자 잔고의 93%를 차지한다. 이 중 다크넷 시장 자금이 4억4800만 달러(약 5429억원), 스캠 1억9200만 달러(약 2327억원), 사기 6600만 달러(약 800억원), 랜섬웨어 3000만 달러(약 364억원)를 차지했다.
대체불가능토큰(NFT) 산업에서는 자전거래와 자금 세탁 같은 불법 활동이 감지됐다. 자전거래는 판매자가 구매자인 척 자산의 가치와 유동성을 호도하는 거래로, NFT의 가치를 실제보다 높게 보이도록 만든다. 불법 주소에서 NFT 시장으로 전송한 금액은 지난해 3분기 100만 달러(약 12억원), 4분기에는 140만 달러(약 17억원)에 육박했다.

체이널리시스는 가상자산 범죄의 고위험 국가로 북한, 러시아 등을 분석했다. 북한은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49차례 해킹으로 가상자산을 탈취했으며, 아직 세탁하지 않은 가상자산은 1억7000만 달러(약 2062억원)로 나타났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 지사장은 “법 집행기관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랜섬웨어, 멀웨어 등 다양한 유형의 가상자산 범죄를 이해하고 이에 대비하길 바란다”며 “특히 블록체인 분석 툴을 통해 자산 동결, 압수 기회 포착 등을 하기 위해서는 가상자산 범죄에 대한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2'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3"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4박상우 국토부 장관 “국민의 삶 흔들리지 않도록…안전 관리 최우선”
5‘관세’에다 ‘탄핵’ 변수까지...금융지주들 위기관리 대응 ‘총력’
6“우리 금쪽이는 소중하니까”...호텔 돌잔치 21% 늘었다
7깃 접은 봉황, 가라앉은 덕치(德治)
8‘지브리 프사 너무 귀여워’ 하는 순간 내 초상권 괜찮을까
9윤석열 시계, 중고시장에 쏟아진다…SNS엔 탄핵 기념 굿즈 나눔 열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