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지난해 가상자산 불법 거래 ‘사상 최대’ 17조원

체이널리시스,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 전문 공개
지난해 가상자산 총 거래 금액 15조8000억 달러…전년 대비 550% 증가
북한 미세탁 가상자산 1억7000만 달러…랜섬웨어 피해액 러시아 비중 74%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지난해 가상자산 총 거래 금액은 15조8000억 달러(약 1경9145조원)로 전년 대비 550% 증가했다. 이 중 불법 거래 금액은 140억 달러(약 16조9638억원) 이상으로 2020년 78억 달러(약 9조4513억원)보다 증가했다. [사진 픽사베이]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 체이널리시스가 가상자산(암호화폐) 범죄를 분석한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 전문을 21일 공개했다.
 
전체 가상자산 가치에서 불법 거래 금액 비중. [사진 체이널리시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상자산 총 거래 금액은 15조8000억 달러(약 1경9145조원)로 전년 대비 550% 증가했다. 이 중 불법 거래 금액은 140억 달러(약 16조9638억원) 이상으로 2020년 78억 달러(약 9조4513억원)보다 증가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다.  
 
하지만 불법 주소가 이용된 거래는 전체 가상자산 거래의 0.15%로 2020년 0.62%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체이널리시스는 “가상자산 총 거래 금액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가상자산 관련 범죄는 법 집행기관의 수사 역량 향상으로 범죄 비율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법무부가 비트파이넥스 해킹 사건과 연루된 36억 달러(약 4조3621억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압류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연말 범죄자 잔고. [사진 체이널리시스]
지난 5년 동안 연말 기준으로 범죄자 잔고를 자금이 나온 불법 활동 유형을 살펴보면, 지난해 말 범죄자 잔고는 110억 달러(약 13조3309억원)로 2020년 말 30억 달러(약 3조6357억원)보다 대폭 증가했다.
 
또한 지난해 말 기준 도난 자금은 98억 달러(약 11조8766억원)로 총 범죄자 잔고의 93%를 차지한다. 이 중 다크넷 시장 자금이 4억4800만 달러(약 5429억원), 스캠 1억9200만 달러(약 2327억원), 사기 6600만 달러(약 800억원), 랜섬웨어 3000만 달러(약 364억원)를 차지했다.
 
대체불가능토큰(NFT) 산업에서는 자전거래와 자금 세탁 같은 불법 활동이 감지됐다. 자전거래는 판매자가 구매자인 척 자산의 가치와 유동성을 호도하는 거래로, NFT의 가치를 실제보다 높게 보이도록 만든다. 불법 주소에서 NFT 시장으로 전송한 금액은 지난해 3분기 100만 달러(약 12억원), 4분기에는 140만 달러(약 17억원)에 육박했다.
 
연도별 랜섬웨어 피해액. [사진 체이널리시스]
지난해 랜섬웨어 피해액은 약 6억200만 달러(약 7298억원)로 전년보다 작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현재까지 집계된 수치로 앞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2020년 피해액도 초기 집계 이후 추가적으로 약 2배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이란과 연루된 랜섬웨어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체이널리시스는 가상자산 범죄의 고위험 국가로 북한, 러시아 등을 분석했다. 북한은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49차례 해킹으로 가상자산을 탈취했으며, 아직 세탁하지 않은 가상자산은 1억7000만 달러(약 2062억원)로 나타났다.
 
랜섬웨어 수익 중 러시아 소속 비중. [사진 체이널리시스]
러시아 사이버 범죄자들은 가상자산 범죄에서 랜섬웨어와 자금 세탁의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체이널리시스는 지난해 랜섬웨어 수익 중 약 74%인 4억 달러(약 4853억원) 이상의 가상자산이 러시아와 연관된 랜섬웨어로 들어간 것으로 분석했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 지사장은 “법 집행기관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랜섬웨어, 멀웨어 등 다양한 유형의 가상자산 범죄를 이해하고 이에 대비하길 바란다”며 “특히 블록체인 분석 툴을 통해 자산 동결, 압수 기회 포착 등을 하기 위해서는 가상자산 범죄에 대한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韓 여성 고용률 하위권"…OECD 31위에 그쳐

2 경찰 "공수처, '윤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경찰에 넘겨"

3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값 상승세…"전세사기 여파"

42025년 은행권 불확실성 여전…돌파구는?

5"2025년 증시, 변동성과 성장 기회 병존"

6신뢰 잃은 5대 은행…올해 ‘내부통제’ 남다른 각오

7을사년, ESG시장 새 국면…규제 강화에도 기회 여전

82025년 증시 움직일 주요 키워드는 ‘트럼프·금리·AI'

94대금융 회장 신년사 키워드는 ‘불확실성 대응‧신뢰회복’

실시간 뉴스

1"韓 여성 고용률 하위권"…OECD 31위에 그쳐

2 경찰 "공수처, '윤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경찰에 넘겨"

3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값 상승세…"전세사기 여파"

42025년 은행권 불확실성 여전…돌파구는?

5"2025년 증시, 변동성과 성장 기회 병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