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면 봉쇄 보름도 안 돼 4477명→2만4943명
한국기업 현지 공장 이미 가동 중단으로 피해
원부자재 2~3개월 확보했다지만 장기화 시 타격

현지 진출 韓 기업 2500~3000여 개, 예의주시 중
봉쇄 첫날인 지난달 28일 상하이의 신규 확진자 수는 4477명이었다. 이후 29일 5982명으로 증가했다가 30일 5653명, 31일 4502명으로 소강상태를 보였다.

현재 상하이는 항만 트럭 운송을 제외한 차량 운행 및 대중교통이 중단됐으며, 필수 업종(물·전기·연료·가스·통신·식량 관련) 외 전 사업장이 운영 중단되거나 재택근무로 전환된 것으로 알려졌다.
봉쇄가 2주째에 들어서면서 우리 기업의 상황도 악화되고 있다. 상하이에서 활동하는 한국 기업은 2500~3000여 곳으로 파악된다. 주중 대사관은 3000여 개로 보지만 상하이시가 공식 집계한 기업은 2500여 곳 수준이다.
현지에 공장을 둔 국내 기업은 이미 가동을 멈춘 상황이다. 농심은 지난달 28일부터 상하이 공장 가동을 중단했고, 오리온 공장도 생산을 멈췄다. 아모레퍼시픽·코스맥스 등 화장품 기업의 상하이 공장도 문을 닫은 상태다.
이들 기업은 타 지역 공장의 생산량을 늘리는 등의 조치를 통해 재고 확보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봉쇄가 장기화되면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상하이에 놀란 中, 광저우 1500만 명 PCR 검사

관건은 코로나19 확산세다. 중국 당국은 상하이에 이어 중구 제조업의 허브인 광저우시에 대해서도 코로나19 비상 체제에 들어갔다. 아직 하루 신규 확진자는 두 자릿수에 불과하지만, 인구 1500만 명 전 주민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부터는 초·중·고교의 대면 수업을 중단하고,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주민들에게 도시를 떠나지 말 것도 권고했다.
상하이에 이어 광저우로 코로나19 확산세가 퍼질 경우 한국 기업은 물론 전 세계 경제에도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강력한 방역 정책이 아시아는 물론 세계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중국이 경기 부양에 실패하면 동아시아의 경제성장률이 4%대로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