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영업익 증가했지만 시장 기대치엔 못 미쳐
최수연 “사업 연계 강화하고 시너지 창출할 것”

사업부문별로는 ▶서치플랫폼 8432억 원 ▶커머스 4161억 원 ▶핀테크 2748억 원 ▶콘텐트 2170억원 ▶클라우드 942억원 등이다. 대부분의 사업부문이 2021년 1분기보다 나은 실적을 기록했다.
서치플랫폼은 검색 품질 개선 및 스마트플레이스 개편 등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했다. 다만 계절적 요인으로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4.9% 감소했다.
커머스는 전년 동기 대비 28.3%, 전 분기 대비 2.7% 성장한 4161억원을 기록했다. 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8% 성장했으며, 브랜드스토어, 쇼핑라이브, 장보기, 선물하기 등 새로운 버티컬 서비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78% 상승했다. 스니커즈 리셀 플랫폼 크림, 화장품 브랜드 어뮤즈 등도 흥행하며 전체 성장에 일조했다.
핀테크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1.1% 상승했다. 다만 1월 페이 수수료 인하 및 전분기 회계처리 효과로 지난해 4분기와 견줘 6.9% 감소했다. 네이버페이 총 결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9%, 전 분기 대비 3.0% 상승한 11조2000억원을 달성했다.
콘텐트는 전년 동기 대비 65.9% 성장했다. 웹툰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9.5% 상승했으며, 글로벌 월간 활성 이용자 1억8000명, 미국 1500만명을 확보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클라우드는 전년 동기 대비 15.3% 상승했으나, 1분기 공공부문 비수기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로는 12.1% 감소한 942억원을 기록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글로벌 수준의 네이버 서비스가 가진 사업 잠재력의 크기는 독보적”이라면서 “새 경영진은 각 사업의 연계를 강화하고 시너지를 창출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며 국내외에서 빠르게 성과를 가시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