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주거사다리’ 전·월세에서 내집으로 이동 더 어려워져
전셋값·매매가 격차 3배로 벌어져
文 정부 출범 때 1억8000만원이
文 정부 끝나니 6억원으로 커져
![](/data/ecn/image/2022/04/27/ecn0693d89d-802c-4ea0-a95c-ee27d18e44da.jpg)
문재인 정부 임기 동안 전·월세에서 내 집 마련으로 이동이 더욱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간 격차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던 2017년 5월에는 1억원 후반대였지만 올해 4월엔 6억원까지 벌어졌다. 즉, 5년 전엔 전세 보증금에 1억~2억원만 추가하면 내 집 마련 기회를 잡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6억원 정도를 추가 마련해야 하는 부담이 커진 것이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2017년 5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4억2619만원, 평균 매매가격은 6억708만원이다.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간 격차는 1억8090만원 정도다.
하지만, 올해 4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격은 6억7570만원, 평균 매매가격은 12억7722만원에 이른다. 전세가격과 매매가격과 차이가 6억원에 이른다.
![](/data/ecn/image/2022/04/27/ecncb1e0845-1524-450a-97bc-e59e99ab3bca.jpg)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급등하면서 전세가격과의 차이가 크게 벌어진 것이다. 2017년 5월 대비 올해 4월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격은 58.5% 오르는 데 그쳤지만 평균 매매가격은 110.4% 올라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다.
서울 한강이북(14개 자치구) 지역도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2017년 5월 기준 한강이북 아파트의 전세가는 약 3억5098만원, 매매가는 약 4억5864만원이었다.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간 격차는 약 1억766만원이다.
반면, 2022년 4월 기준 전세가격은 5억5846만원, 매매가격은 10억1128만원을 기록했다.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차이가 4억5282만원으로 2017년 대비 약 320.6%나 상승한 것이다.
![](/data/ecn/image/2022/04/27/ecnf11ec5a4-892d-445b-85ff-31cb5b978be6.jpg)
한강 이남(11개 자치구) 지역도 격차가 벌어졌다. 이 지역 아파트는 2017년 5월 기준, 평균 전세가격이 4억9022만원, 평균 매매가격이 7억3347만원으로 가격 차이가 약 2억4325만원이다. 하지만, 올해 4월 기준 전세가격은 7억8307만원, 매매가격은 15억2548만원으로 격차가 7억4241만원으로 더욱 벌어졌다. 이는 2017년 5월과 비교하면 205.2%나 오른 것이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규제 일변도로 집행한 정부의 부동산 규제 탓에 똘똘한 한 채로 몰리면서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며 “전세로 거주하다 내 집 마련에 나선 수요자들의 부담이 더욱 커졌다. 이젠 전세 조차 유지하기도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B증권 'IPO 수장' 유승창 본부장,…"올해도 1위 목표"
2사고에도 ‘흔들림’ 없는 LCC...계속되는 ‘불안한’ 이륙
3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
4대전 초등 살해 교사, ‘月100만원’ 공무원연금 평생 받는다
5“지구상 가장 똑똑한 AI”…머스크 야심작 ‘그록3’ 17일 첫선
6"돈 불려줄게, 신분증 좀 빌려줘"…‘명의도용 대출사기’ 피해 주의보
7'64억 잭팟' 터질까…로또 1등, 한 곳에서 5장 나왔다
8최태원 회장 등 20대 그룹 CEO, 트럼프 행정부 만난다
9“봄 오나 했더니 최저기온 10도 ‘뚝’”...월요일부터 강추위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