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中 기회의 땅’은 옛말…공장 멈추고 발동동, 유통 기업 앞날은?

[‘상하이 봉쇄’ 나비효과] ②국내 기업 대책 및 현황
오리온, 코스맥스는 중국 내 타 지역 공장 생산 늘려
아모레퍼시픽은 국내서 제품 생산한 후 수출 선택
농심은 지난 12일부터 부분 봉쇄 해제로 정상적 가동

 
 
봉쇄 조치를 진행 중인 중국 상하이시 한 슈퍼마켓 고기 코너가 거의 비어 있다. [연합뉴스]
인구 2500만명에 달하는 거대 도시, 중국 상하이의 경제 활동이 멈췄다. 지난달 28일부터 중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봉쇄 조치 ‘칭링(재로 코로나)’을 취하면서다. 중국 상하이시는 당초 이날 봉쇄를 해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감염자 폭증세가 지속되면서 도시 봉쇄를 유지하기로 했다. 현재 한 달 넘도록 상하이 봉쇄령은 이어지고 봉쇄 해제일은 아직까지 정해지지 않았다.  
 
문제는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로, 현지에 있는 국내 기업들의 공장 가동까지 무기한으로 중단 상태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거대 도시의 시장성을 보고 상하이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은 중국 정부 조치에 발목이 잡힌 상황이다. 이에 국내 유통업계 기업들은 봉쇄 조치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가장 먼저 꺼내든 대책은 중국 내 타 지역 공장 생산을 늘리는 것이다. 이번 봉쇄 조치로 상하이 공장 가동을 중단한 오리온은 봉쇄하지 않는 베이징과 광저우 등에 있는 공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오리온 측은 “일시적으로 수급 차질 문제가 있었지만 타 공장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영업에 영향은 없다”고 설명했다.  
 
화장품 제조기업 코스맥스 역시 상하이 현지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기존 상하이 생산 물량을 광저우 공장으로 옮겼다.  
 
또 상하이 공장 제품을 한국에서 생산해, 물류를 활용해 수출하는 방식으로도 운영된다. 아모레퍼시픽이 이 같은 경우다. 아모레퍼시픽 중국 내 생산시설은 상하이 한곳으로, 지난 4월 1일부터 상하이 정부 봉쇄 지침에 따라 생산 가동을 중단했다.  
 
이 공장에서는 이니스프리, 에뛰드, 마몽드 등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봉쇄 장기화로 아모레퍼시픽은 관련 제품을 한국 공장에서 생산해 상하이로 수출하는 방식으로 대체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아모레 퍼시픽 상하이 뷰티사업장은 ‘상하이시 제조업 생산재개 관련한 전염병 예방통제 지침’에 따라 직원 및 파트너 및 소비자 안전을 보장하며 조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생산시설 재개 여부는 당국 방침에 따를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8일부터 봉쇄 조치가 지속된 중국 상하이시 거리 모습. [중앙포토]

지역별 부분 봉쇄 해제로 농심 공장은 재가동  

공장 가동 중단 이후 재고 상품으로 대체하다 지역별 부분 봉쇄 조치 해제로 공장 생산을 다시 시작한 기업도 있다. 농심은 지난달 28일 봉쇄 이후 기존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한 재고 제품을 활용해 영업하고, 추가적인 제품은 중국 삼양공장 생산을 늘려서 공급하며 대처해왔다.  
 
이후 지난 12일부터는 상하이 내에서도 지역별로 봉쇄 조치가 해제되면서 중국 상하이 금산공업개발구에 위치한 농심 공장은 조치가 풀려 현재는 다시 가동하고 있다. 농심 관계자는 “지역별로 2주 동안 확진자가 나오지 않는 곳은 부분적으로 봉쇄가 해제되면서, 농심 상하이 공장은 다시 가동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사회주의와 시장경제 운영하는 中 이중체제 리스크 인식  

봉쇄 조치로 중국 상하이시 한 아파트 단지 출입구ㅇ[ 출입 금지를 알리는 경계선이 쳐졌다. [연합뉴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들이 중국 이중체제에 따른 리스크를 세밀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대종 세종대 교수(경영학과) “14억명 인구가 있는 중국은 기회의 땅이지만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 체제를 운영하는 이중체제 국가임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며 “현재 상하이시의 봉쇄 조치도 이중체제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김 교수는 “앞서 중국에 진출한 신세계와 롯데가 이를 철수하고, 베트남으로 옮겨간 것처럼 중국 체제와 맞지 않는 국내 기업은 중국 진출에 대해 조심스러워야 한다”며 “빠른 봉쇄 조치 해제를 기대하는 것보다 다른 대안책을 마련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수능 망치란 소리?”…수험생 반발에 일정 변경한 아이돌 그룹

2“승무원 좌석 앉을래”…대한항공 기내서 외국인 승객 난동

3대구도심융합특구 지정..."경북도청 후적지,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변신"

4"안동명소도 둘러보고, 전통시장 장도 보고" 전통시장 왔니껴 투어 성황

5겨울철 입맛을 사로잡을 새콤달콤한 유혹, 고령딸기가 돌아왔다.

6명품 영덕송이, 13년 연속 전국 1위..."긴 폭염에 생산량 절반 줄어"

7(주)포스코실리콘솔루션,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 공장 준공

8경북 동부청사, 포항에 둥지틀고 새로운 도약

9신세계, 외형 성장은 이뤘지만…3분기 영업익 29.5%↓

실시간 뉴스

1“수능 망치란 소리?”…수험생 반발에 일정 변경한 아이돌 그룹

2“승무원 좌석 앉을래”…대한항공 기내서 외국인 승객 난동

3대구도심융합특구 지정..."경북도청 후적지,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변신"

4"안동명소도 둘러보고, 전통시장 장도 보고" 전통시장 왔니껴 투어 성황

5겨울철 입맛을 사로잡을 새콤달콤한 유혹, 고령딸기가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