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경제 인사이트] 동유럽 국경 도시, 中-유럽 화물열차로 입지 중요성 '부각'

[경제 인사이트] 동유럽 국경 도시, 中-유럽 화물열차로 입지 중요성 '부각'

(바르샤바/부다페스트=신화통신) 중국-유럽 화물열차 노선에는 두 개의 동유럽 국경 도시가 위치한다. 바로 폴란드의 말라쉐비체(Malaszewicze)와 헝가리의 자호니(Zahony)다.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로 두 도시의 대외무역과 지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해봤다.
말라쉐비체는 19세기부터 폴란드 최대 철도 화물 환적 허브로 발전했다. 여러 개 국제 철도 노선이 이 곳을 통과하고 있다.
중국과 유럽 간 운송업에 종사하고 있는 리얼 로지스틱스(Real Logistics)는 최근 말라쉐비체에 사무실을 오픈했다.
리얼 로지스틱스 관계자는 말라쉐비체가 중국-유럽 화물열차의 가장 중요한 경유지라고 소개했다.
폴란드는 중국이 유럽으로 진출할 때 거쳐야 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 최근 폴란드가 운송 인프라 확충에 힘 쓰면서 북부 지역 철도 노선은 더욱 혼잡졌고 이는 남부 철도 업그레이드를 부채질했다. 이에 헝가리 북동부 5개국 국경과 맞닿고 있는 도시 자호니가 남부 철도를 따라 중요한 허브로 부상했다.
자호니가 발전하는 모습을 지켜본 한 철도엔지니어링회사 관계자는 "2017년에는 50개의 컨테이너만 처리했지만 지난해에는 무려 7천 개의 컨테이너를 성공적으로 환적했다"고 말했다.
자호니의 입지적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유럽에 현대 복합물류센터를 건설하기 위한 장소로 자호니가 선정됐기 때문이다. 최근 중앙유럽 물류공업지대 프로젝트를 위한 컨소시엄이 설립돼 센터 건설이 탄력을 받고 있다.
또 자호니의 환적장도 개조 및 확장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중국-유럽 화물열차는 전년 대비 22% 증가한 1만5천 편을 운행했다.
'세계의 슈퍼마켓'으로 불리는 저장(浙江)성 이우(義烏)와 유럽을 잇는 이신어우(義新歐) 화물철도 역시 국제 운송비가 급격히 상승했음에도 분주한 운행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유럽 화물열차를 통한 대(對)중국 수입도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유럽 화물열차를 통해 수입한 물품의 총 가치는 51억6천만 위안(약 9천789억원)에 달해 전년 대비 683.9% 증가했다.
중국-유럽 화물열차를 통해 운송되는 상품을 관리하는 저장신실크로드해관(세관)대리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우리 회사는 10만5천TEU를 해관에 신고했다"며 "이는 전년 대비 31% 증가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중국-EU 무역이 증가하면서 헝가리의 국경 도시인 자호니에 대한 물류 회사들의 관심도 점점 커지고 있다.
글로벌 코로나19 팬데믹과 치솟는 운송 비용에도 불구하고, 중국-유럽 열차는 국제 무역의 중요한 물류 채널이 되었다는 평가다.
리얼 로지스틱스 관계자는 중-EU 협력을 확신하고 있으며, 중국-유럽 화물열차의 전망에 대해 낙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의협 “정부, 3대 요구안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2 의협 “증원 재논의 없으면 18일 집단 휴진...오늘밤까지 답 달라”

3해킹 당하고 수년간 몰랐다...태그호이어, 韓 고객정보 2900건 유출

4 정부 “진료거부 장기화로 병원 손실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 검토”

5 한 총리 “의대증원 없던 일로 만들라는 말 받아들이기 어려워”

6 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전면 폐지하고 상속세율 30%로 인하해야”

7‘산유국 도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본격화...착수비 100억 확보

8윤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마치고 귀국...세일즈 외교 성과

9우리은행·우리자산운용, 글로벌 자산운용사와 IB·펀드사업 협력

실시간 뉴스

1의협 “정부, 3대 요구안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2 의협 “증원 재논의 없으면 18일 집단 휴진...오늘밤까지 답 달라”

3해킹 당하고 수년간 몰랐다...태그호이어, 韓 고객정보 2900건 유출

4 정부 “진료거부 장기화로 병원 손실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 검토”

5 한 총리 “의대증원 없던 일로 만들라는 말 받아들이기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