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주요국 증시에서 4달째 자금 유출 이어져
동남아 일부 국가에는 지난달 외국인 자금 유입

7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아시아 주식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회의 매파적 긴축정책과, 중국의 봉쇄가 성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로 외국인 자본 유출이 일어났다고 로이터 통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국 금융정보업체 리피니티브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한 대만·인도·필리핀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에서 지난달 외국인이 순매도한 금액은 총 142억2000만 달러(약 18조1000억원)를 기록했다. 이들 국가 증시의 올해 1~4월 외국인 순매도 합계는 457억6000만 달러(약 58조3000억원)로, 최소한 2008년 이후 매년 동기 대비 가장 큰 규모다.
이 같은 외국인 자금 유출의 배경에 대해 로이터는 “애널리스트들은 미 연준의 통화긴축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상하이 등 중국의 대도시 봉쇄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금융투자회사 IG의 한 시장 분석가는 “금리에 민감한 성장주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미래 기업 이익에 대한 할인율 상승의 압박을 받고 있다”며 “이는 대만과 한국증시에서의 외국인 자금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시아 증시에서 한국은 49억7000만 달러가 유출됐으며, 대만에서는 88억6000만 달러(약 11조3000억원), 인도에서 22억4000만 달러(약 2조8000억원)가 각각 빠져나갔다.
한국 인플레이션 지켜보는 외국인, 동남아에 ‘주목’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외국인 투자자의 행보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틱시스(Natixis)의 아시아 태평양 수석 경제학자인 알리시아 가르시아 에레로는 “인플레이션은 한국과 인도의 투자자의 주요 관심사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 공급망 차질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올랐다. 인도 또한 올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95%로 치솟았다.
다만 아시아 내에서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동남아시아 시장에는 최근 외국인 자금이 몰리고 있다. 크레디트 스위스의 수석 투자 전략가인 수레쉬 탄티아는 “동남아시아 시장은 최고의 성장 잠재력을 제공하며 상승 동력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들 국가는 코로나19 이후 회복세, 높은 원자재 가격, 중앙은행이 제공하는 혜택을 누려 북아시아 다른 국가보다 우수한 수익 성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는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 증시에 지난달 각각 15억7000만달러(약 2조원), 2억8900만 달러(약 3686억원), 1억7500만 달러(약 2231억원)가 유입됐다고 전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최저임금 6차 수정안…노 "1만1020원" vs 사 "1만150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 강력한 규제 예고…李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다시 돌아가는 M&A 시계…대기업이 이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