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신화통신) 코로나19가 중국에서 홈트(홈트레이닝), 캠핑 열풍, 스마트 전자제품 인기 등 새로운 소비 습관과 패턴을 만들어 내고 있다. 중국 상무부 측에 따르면 노동절 연휴(4월 30일∼5월 4일) 기간 중점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친환경 스마트 가전 판매량이 40% 이상 증가했다. 가전제품 유통 전자상거래 업체 쑤닝이거우(蘇寧易購)는 먼지 흡입과 걸레질 기능이 있는 물걸레 청소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33.7% 급증했다고 밝혔다. 베이킹 도구 판매량은 15.41% 늘었으며 에어프라이기 판매량도 740.8% 대폭 증가하는 등 가전제품이 특히 인기를 끌었다. 가정용 헬스기구 판매도 20% 넘게 늘어난 것으로 상무부 통계를 통해 확인됐다. 이는 코로나19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난 데 따라 홈트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각 대형 쇼핑 플랫폼에서 헬스기구 검색량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쑤닝이거우는 줄넘기, 요가 매트, 러닝머신 등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97.5%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 외에도 기능성 티셔츠, 운동화 등 판매도 142.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여행 플랫폼인 취날닷컴(去哪兒網)에선 4월 이후 캠핑 관련 검색이 전년 동기 대비 2.5배 늘었다.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땐 무려 4배 증가한 수준이다. 캠핑 관련 관광 상품(숙박·여행) 예약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정도 늘었다. 올해 주 1회 캠핑을 다닌다는 한 시민은 "올 연초에 캠핑 장비를 알아보기 시작해 최근 일부 구매해 봤다"며 "가족들과 몇 번 사용해 보고 나니 장비 욕심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주변에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며 이미 여러 캠핑 관련 위챗 그룹에 가입했다고 설명했다. 업계 인사는 근교 캠핑과 홈트 등 새로운 몰입형·체험형 소비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라이브방송·배달 등 성장세가 두드러졌다고 강조했다. 즉 소비자가 건강하고 편리하며 스마트한 생활 방식을 추구함에 따라 관련 산업이 빠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렇듯 새로운 소비가 생겨나자 중국 정부도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각종 지원책을 펼쳤다. 지난 4월 중국 국무원 판공청은 소비 회복 촉진에 관한 문건을 발표했다. 중국 각 지역 유관 부서도 소비 진작 조치를 실시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월 쓰촨(四川)·산시(陝西)·후베이(湖北) 등 20개 지역은 총 34억 위안 (약 6천376억원) 이상에 달하는 소비쿠폰을 발행했다. 쌀·면 등 필수 소비품부터 가전·자동차 등 선택 소비품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생활 관련 소비 상품이 쿠폰 사용 품목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중국의 한 캠핑 화로 제작 공장은 3년 만에 업계 대기업으로 거듭났다. 캠핑 사업에 뛰어든 한 캠핑러는 노동절 연휴 기간 하루 1천 명(연인원)에 달하는 손님을 유치해 대성공을 거뒀다. 한 전문가는 코로나19 속 새로운 소비 형태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 소비 모델 및 습관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美FDA인력 감축 칼바람 여파 '촉각'[제약·바이오 해외토픽]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