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화건설, ‘탄소제로’ 한 발짝…'가스화 수소 생산' 기술 개발 MOU

25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업무협약 서명식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서 수소 생산 기술 개발 추진

 
 
한화건설 '가스화 수소 생산' 핵심기술 개발 업무협약 체결. [사진 한화건설]
 
한화건설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전날 서울 한화빌딩에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등을 이용한 '가스화 수소 생산'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보유한 가스화 공정 기술을 활용해 미래에너지원인 수소 생산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실증사업 수행과 더불어 한화건설의 수소 생산 신사업 개발 확대를 위해 추진됐다.  
 
앞으로 한화건설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협약에 따라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등을 이용한 가스화 공정 활용 수소 생산 기술 개발과 플랜트 안전관리를 위한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기술 개발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또 지속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추가 협력 분야를 논의하게 된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폐플라스틱을 가열해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유화유를 의미한다. 이렇게 생산된 기름을 고온·고압 상태의 가스화기에서 한정된 산소와 함께 불완전 연소시키면 수소(H2)와 일산화탄소(CO)가 주성분인 합성 가스(Syngas)를 생산할 수 있는데, 이것이 가스화 수소 생산이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과제로 열분해 등 화학적 재활용을 통한 폐플라스틱의 연료 및 원료화를 추진하고 공공열분해시설을 10개소로 확충하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매립, 소각 중심의 폐플라스틱, 폐비닐 처리방식에서 열분해 방식으로 전환되면 폐기물 감량 및 탄소배출량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작년 12월에 발표된 ​‘케이(K)-순환경제 이행계획’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열분해 비중은 지난 2020년 0.1%에서 오는 2025년에는 3.6%, 30년에는 1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증가하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석유제품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수소화 사업에 활용하는 등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한 시장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광호 한화건설 부회장은 “가스화 수소 생산 기술 확보는 앞으로 다가오는 탄소제로시대를 대비하고 ESG경영에 한발 더 다가가는 것”이라며 “한화건설의 대표적 친환경 사업인 풍력사업, 대규모 수처리사업과 더불어 수소사업에서도 업계를 선도해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국내 가스화기술 연구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15년 이상의 가스화 기술 개발 경험과 10톤/일급의 파일럿 가스화 플랜트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고의 에너지기술개발 연구기관이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로터스자동차코리아·뱅앤올룹슨 연말 특별 프로모션 진행

2미국 변호사가 창업한 AI링고, 법률 번역 기술로 TIPS 선정

3LG엔솔, 미래 배터리 기술 함께 연구할 파트너 찾는다...‘배터리 이노베이션 콘테스트’ 연다

4알레르망, 9년 연속 패션비즈 어워즈 1위…브랜드 파워 입증

5美 상장기업 CEO 퇴직 '사상 최대'…"증시 활황에 내년 불경기 전망 탓"

6한-필리핀 FTA 31일 발효…바나나·자동차 수입관세 철폐

7엔비디아에 개미 몰렸다…테슬라 제치고 올해 매수 1위 전망

8 공조본 “尹측 오후 6시 현재 연락 없어…변호인 선임계도 제출 안돼”

9국내 벤처기업 총매출 재계 3위 수준…총매출 242조원 기록

실시간 뉴스

1로터스자동차코리아·뱅앤올룹슨 연말 특별 프로모션 진행

2미국 변호사가 창업한 AI링고, 법률 번역 기술로 TIPS 선정

3LG엔솔, 미래 배터리 기술 함께 연구할 파트너 찾는다...‘배터리 이노베이션 콘테스트’ 연다

4알레르망, 9년 연속 패션비즈 어워즈 1위…브랜드 파워 입증

5美 상장기업 CEO 퇴직 '사상 최대'…"증시 활황에 내년 불경기 전망 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