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경련 "글로벌 공급망 위기 악화"
대응 방안 마련 시급 지적도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전북대 최남석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 ‘한국경제 산업 핵심물자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30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관리가 필요한 핵심 수입품목’으로 수입의존도가 90% 이상, 수입경쟁력이 절대 열위인 품목 중 수입금액 규모가 최상위 30%에 해당하는 228개 품목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중국산 품목이 172개로 7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품목은 32개(14.0%), 미국산 품목은 24개(10.5%)로 집계됐다.
중국의 핵심 수입 품목에 영향 받는 국내 산업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같은 산업용 원자재 등 전 분야에 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망간(강철 제조 시 필수 소재), 흑연(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에 활용되는 필수 원료), 마그네슘(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중요 소재) 등은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중국산 수입 품목이다.
보고서는 핵심 수입품목으로 관리해야 할 228개 품목 중에서 기업 간 거래가 많고, 상대국에 대한 전후방 GVC(Global Value Chain) 스트레스로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이 취약하다고 판단하는 133개 품목도 별도로 제시했다. 이 중 중국산 품목은 95.4%에 달했다.
특히 산화텅스텐(반도체 소재), 염화칼슘, 비디오카드, 태양광 모듈, 농약 원제 등은 조기경보 체계가 필요한 중국산 수입품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산 수입 품목은 전하결집소자(광학 스캐너,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주요 부품), 레조르시놀(방부제·살균제로 사용되고, 합성수지의 주요 원료) 등으로 조사됐다. 헥사메틸렌디아민(나일론 합성 원료) 등이 특별히 관리해야 할 미국산 수입 품목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상하이 봉쇄가 장기화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악화하고 있다”며 “수입선 다변화, 글로벌 공급망 동맹 적극 참여 등을 통해 핵심 수입품목 중국 편중 현상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