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SK에코플랜트, 연료전지 시장 진입 6년 만에 업계 ‘최강자’ 등극

누적 수주 380MW 넘기며 실적 급증세…올해 5월 작년 전체 수주실적 초과
연료전지 발전시설 수주·연료전지 생산시설 구축으로 ‘벨류체인’ 확보
세계최초 '열공급형 SOFC' 발전소 완공해 주목

 
 
지난 6월 8일 강원도 동해시 구미동에서 열린 ‘북평레포츠센터 연료전지 발전소 준공식’에서 이왕재 SK에코플랜트 에코에너지 BU대표(왼쪽 세번째), 조상기 한국동서발전 사업본부장(왼쪽 네번째) 등 주요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식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SK에코플랜트]
 
환경·신재생 에너지 기업 SK에코플랜트의 연료전지 발전 수주실적이 급격히 늘며 업계 선도업체로 등극했다. 2017년 해당분야에 첫 진출한 이후 6년 만에 거둔 쾌거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달 수주한 59.4MW(메가와트) 규모 ‘부산 에코델타시티’를 비롯해 올해 총 5개 프로젝트에서 총 117.3MW 수주실적을 기록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상반기가 다 가기도 전인 5월에 이미 지난해 전체 수주량인 111.6MW를 넘어선 셈이다.  
 
이에 따라 SK에코플랜트는 연료전지 발전사업에서 381MW 수주실적과 195.2MW 준공실적을 보유하게 됐다.  
 
이 같은 실적은 비교적 단기간에 달성됐다. 2018년에는 미국의 첨단 신재생에너지 기업인 블룸에너지사로부터 국내 수입 연료전지에 대한 독점 공급권을 확보한 바 있다. 이밖에도 최고 기술력을 갖춘 엔지니어들의 역량을 바탕으로 다수의 연료전지 프로젝트에서 사업개발과 EPC(설계·조달·시공)를 맡으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  
 
2020년에는 블룸에너지와 국내 합작법인(블룸SK퓨얼셀) 제조공장도 설립함으로써 연료전지 생산까지 가능해지는 등 해당 산업에서 전 분야를 아우르는 ‘벨류체인’을 완성했다.
 
북평레포츠센터 연료전지 발전소 전경 [사진 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는 세계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0년부터 미국 시장점유율 1위 데이터센터 전문 운영업체 에퀴닉스(Equinix)사 데이터센터 내에 연료전지 발전소 시공을 맡아 오는 11월 준공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에는 약 3000억원을 투자해 블룸에너지 지분 5.4%을 매입하는 주식매매계약도 체결했다.  
 
지난 8일에는 SK에코플랜트가 준공한 현존 최고 효율의 연료전지 발전소가 시장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한 4.2MW규모 ‘북평레포츠센터 연료전지 발전소’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로선 세계 최초의 열공급형 발전소다. 이 발전소에는 SK에코플랜트가 자체개발한 열 회수 모듈이 탑재돼 전력뿐 아니라 열도 동시에 공급 가능하다. 전력생산 후 버려졌던 열을 회수해 난방 등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1만400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3만6800MW의 전력이 매년 생산될 예정이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열 역시 내년 상반기 개장하는 북평레포츠센터 내 수영장의 난방 및 온수 공급에 사용되며 동해시는 연간 4204Gcal에 달하는 열을 공급받게 된다. 이처럼 화석연료 대신 연료전지 배열로 온수를 제공하면서 동해시는 매년 2억원에 육박하는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게 되며 약 770톤의 탄소 저감효과(소나무 658만 가구를 심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됐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연료전지 전 분야에 걸쳐 강력한 밸류체인을 구축함에 따라 SK에코플랜트가 국내 연료전지 최강자로 거듭나고 있다”면서 “국내 그린수소 생산 실증, 해외 그린수소 생산 및 국내 도입 등을 통해 수소생태계의 멀티플레이어로서 수소시장을 선점할 것”이고 강조했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6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7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8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9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실시간 뉴스

1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2‘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3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4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5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