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카카오 지분 매각 후 2대주주 전환 시나리오 공개[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논란②]

카카오 10% 지분 매각으로 MBK파트너스 최대주주로

 
 
카카오가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추진 사실을 공식화했다.[연합뉴스]
카카오가 그간 설만 무성했던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추진 사실을 공식화했다. 카카오는 지난 7일 “카카오의 주주가치 증대와 카카오모빌리티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 10%대 매각을 통한 2대주주로의 전환 등을 검토 중”이라고 공시했다. 배재현 카카오 최고투자책임자(CIO) 역시 전일 사내 공지를 통해 “검토하고 있는 부분은 10%대의 매각을 통한 카카오의 2대 주주로의 지분 변경 구조”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현재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57.55%를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사모펀드인 TPG컨소시엄(29.04%), 칼라일그룹(6.21%) 등이 카카오모빌리티의 주요 주주로 포진해 있다.
 
카카오가 검토하고 있는 시나리오는 먼저 10%대의 지분을 MBK파트너스에 매각하고, MBK파트너스는 TPG컨소시엄이나 칼라일그룹의 지분을 추가로 인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하면 MBK파트너스는 최대주주로, 카카오는 2대주주로 물러나게 된다. 기업공개(IPO)가 아니더라도 FI의 엑시트 활로를 마련할 수 있다.  
 
카카오는 “아직 결정된 건 없다”는 입장이지만 카카오 노조가 김성수 카카오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CAC)장을 만나 진행한 긴급 면담 결과에 따르면 카카오의 매각 의지는 확고해 보였다. 카카오는 이 자리에서 “모빌리티 사업을 이어나갈 의지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배재현 CIO는 “카카오는 주주구성의 변화로 2대주주로 한발 물러서서 카카오모빌리티의 독립을 응원할 것”이라며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더 큰 혁신과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구조를 고민해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모빌리티업계는 카카오가 2대주주로 물러난 카카오모빌리티의 미래를 밝게 전망하지 않고 있다. 그간 카카오모빌리티가 성장하는데 카카오그룹 울타리가 혁혁한 공을 세웠기 때문이다.  
 
모빌리티 스타트업의 한 대표는 “이미 카카오모빌리티의 시장 점유율이 상당한 택시호출이나 대리운전의 경우 크게 흔들리지 않겠지만 이제 막 발을 디딘 주차나 바이크, 퀵 서비스 시장에선 지금처럼 영향력을 넓히는 게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가령 M&A를 진행할 때 상대기업 측에서 카카오가 아닌 사모펀드가 모회사라는 점을 걸림돌로 여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울타리 벗어나도 성장할까 

카카오모빌리티의 핵심 비즈니스는 카카오T 플랫폼이다. 카카오T는 일상생활 대부분을 카카오로 통하게 하는 카카오 생태계의 한 축이었다. 카카오라는 막강한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기존 택시 호출 시장을 집어삼킨 뒤 대리운전, 주차, 바이크, 퀵 서비스 시장으로 진출했다. 카카오가 그간 쌓아온 플랫폼 운영 역량, 위치기반 서비스, 결제 서비스 등에서 뛰어난 편의성과 범용성을 자랑했다.
 
그만큼 카카오그룹과의 사업 시너지가 상당했는데, 새 주인의 경영 결정에 따라 카카오그룹과의 연결고리가 느슨해질 수도 있다.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같은 카카오모빌리티의 미래 비즈니스 역시 인공지능(AI) 등 카카오의 첨단 기술과 접점이 많다.  
 
IT업계 관계자는 “카카오라는 기술기업의 든든한 뒷배가 없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영향력이 예전만큼 있을지 가늠하기 어렵다”면서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쟁사 중엔 이번 매각 이슈를 사업 확장의 기회로 판단하고 있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새 주인을 맞아 새 비즈니스를 꾀하는 것도 쉽지 않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새롭게 시장을 만들기보단 기존에 있는 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왔다. 기존 사업자의 저항 없이 사업을 전개하기가 어렵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기사와 대리운전 기사, 퀵 서비스 사업자와 갈등을 빈번하게 벌여왔고, 이는 플랫폼의 시장 침탈 문제로 번졌다. 새 주인이 온다고 이런 갈등이 줄어들 가능성은 크지 않다. 모빌리티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체질을 확 바꾸지 않는 이상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으로도 수익화에 나설 때마다 정치권과 여론의 눈치를 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다린 기자 quill@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2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3"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4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

5 제주항공 사고기 음성기록장치, 충돌 4분 전부터 “저장 無”

6부부 연기가 현실로...20년 만에 재결합 “묘한 인연 느껴”

7‘탄핵 딱 질색이니까’ 노래 부르는 윤대통령 등장 ‘화들짝’

8속도가 도시를 바꿀까

9‘가짜 면허 파문’ 파키스탄 항공…‘에펠탑 여객기 충돌’ 광고 논란

실시간 뉴스

1'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2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3"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4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

5 제주항공 사고기 음성기록장치, 충돌 4분 전부터 “저장 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