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중환자실로 간 공학도…김동주 대표의 전자약 개발기[전자약 시장을 주목하라②]
- [인터뷰] 김동주 뉴로티엑스 대표
“패치 하나로 질환 치료하는 날 올 것…전자약 시장 키워야”

8월 22일 오전 수면센터를 찾은 김 대표는 고려대 뇌공학과 박사 과정 대학원생들과 피험자의 뇌파 변화를 골똘히 쳐다보고 있었다. 피험자가 착용한 뇌신호 모니터링 기기를 통해 서버에 들어온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는 특정한 전기 자극(레시피)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 대표가 3년째 개발 중인 전자약 ‘뉴로에이드’ 중 슬립에이드(SleepAid)는 인공지능(AI)으로 피험자의 수면 패턴을 파악한 뒤 피험자가 깊이 잠들 수 있는 전기 신호를 보낸다. 피험자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하면, 상황에 맞는 다른 전기 자극도 개인 맞춤형으로 전송한다.
불면증을 앓는 피험자에게 전류를 흘리는 이유를 묻자 김 대표는 "우리 몸은 도체"라며 운을 뗐다. 뇌는 전기 신호를 통해 근육에 정보를 전달한다. 찰나에 수많은 전기 신호를 만들어 우리 몸 곳곳에 명령을 내린다.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은 물론, 생각하고 말하는 것까지 뇌 속 뉴런과 시냅스가 만든 전기 신호의 결과다. 김 대표는 "뇌파도 이보크 포텐셜(evoke potential)이라는 전기 신호로 작동한다"며 "우리 몸을 전기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은 낯설지만, 상식적인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뉴로에이드를 개발한 것도 우리 몸이 전기 신호로 통제된다는 사실에서 출발했다. 무너진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전기 신호로 회복시키면, 신경 이상이나 손상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뉘는데, 한쪽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급성심근경색과 불안증, 기립성저혈압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킨다. 뉴로에이드는 균형이 깨진 자율신경계에 전기 자극을 줘서 수면 장애 외에도 인지기능 장애, 파킨슨병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

소화장애부터 뇌전증까지…‘패치’ 하나로 해결한다

올해 초엔 약국에서 전자약을 판매하는 ‘전자약국’ 플랫폼 특허도 출원했다. 스마트폰, 노트북을 판매하는 것처럼 약국에서 다양한 전자약을 안내, 판매하는 식이다. 김 대표는 “기존 의약품과 달리 전자약은 승인만 받는다고 끝이 아니”라며 “미국에선 의사가 전자약 사용 방법을 안내하거나 지도하기 어려워서 실제 처방과 판매가 저조하다”고 했다. 이어 “소화불량, 안구 건조증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질환들이 자율신경계와 연관된 만큼 앞으로는 중증 질환뿐만 아니라 소화장애, 피로회복 등도 작은 패치 하나로 해결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했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관악구 신림동 `흉기 난동`…용의자 포함 4명 부상(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지나, 성매매 논란 후 심경 "살기 위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 中, 美본토공격 가능한 ICBM '둥펑' 대거 공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딜 가뭄에 인력 수요도 한풀"…회계법인 채용시장도 '차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고바이오랩, ‘주사 대신 자연 GLP-1…비만 치료제 판도 흔드나[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