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반도체 전문가 10명 중 6명 “반도체 위기 2024년까지 지속”
- 대한상공회의소, 반도체산업 경기 인식 조사
응답자 76.7% 현재 상황 위기로 진단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국내 반도체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반도체산업 경기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76.7%는 현재 상황을 위기로 진단했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위기상황 초입 56.7%, 위기 한복판 20%다. 위기 상황 직전이라는 응답은 20%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위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봤다. 현 상황을 위기 혹은 위기 직전으로 진단한 전문가들에게 이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는지 묻자 58.6%가 내후년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내년까지(24.1%), 내년 상반기까지(13.9%), 올해 말까지(3.4%)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겹겹이 쌓인 장단기 대외리스크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반도체 공급 과잉, 글로벌 수요 감소 및 재고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 중국의 빠른 기술추격,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심화 등의 리스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반도체산업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하락세도 심상치 않다. D램과 낸드플래시의 가격은 최근 수개월째 하락세를 보이고, 전문가와 시장조사기관들은 3분기에도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2분기 대비 10% 이상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반도체산업이 처한 상황이 최근 10년 내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지난 2016년 중국의 메모리 시장 진입 당시, 2019년 미중 무역분쟁 당시와 비교할 때 현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응답 비율(매우 심각 16.7%·심각 26.7%)은 43.4%에 달했다.
2016·2019년과 유사하다는 답변은 36.6%, 2016·2019년보다는 양호하다는 답변은 20%(매우 양호 3.3%·양호 16.7%)로 집계됐다.
2016년은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진출과 사드 사태 여파로 4년간의 수출 증가세가 꺾인 해이다. 2019년에는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반도체 다운사이클 여파로 반도체 수출이 전년 대비 약 26%가량 감소했다.
범진욱 서강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과거 반도체산업의 출렁임이 주로 일시적 대외환경 악화와 반도체 사이클에 기인했다면, 이번 국면은 언제 끝날지 모를 강대국 간 공급망 경쟁과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중국의 기술추격 우려까지 더해진 양상"이라고 진단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지난주 애플이 메모리 반도체의 신규 공급처로 중국 YMTC를 낙점하면서 국내 반도체산업에 위기감을 안겨줬다"며 "낸드플래시 부문은 한중 간 기술 격차가 1∼2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와 미국의 '반도체 칩과 과학법'(반도체법)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칩4 논의'가 국내 반도체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36.6%(매우 긍정적 3.3%·다소 긍정적 33.3%),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46.7%(매우 부정적 16.7%·다소 부정적 30%)로 나타났다. 큰 영향 없을 것이라는 응답 비중은 16.7%였다.
반도체법의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50%(매우 긍정적 3.3%·다소 긍정적 46.7%), 부정적이라는 답변이 40%(매우 부정적 20%·다소 부정적 20%)였다.
큰 영향 없을 것이라는 답변 비중은 10%에 그쳤다. 또 국내 반도체산업의 단기적 위협요인으로는 글로벌 반도체 수요 감소(부정적 영향 80%), 중국의 코로나19 봉쇄(66.7%),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63.3%), 우크라이나 전쟁(56.7%) 등을 우려하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반도체산업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정책과제로는 칩4 대응 등 정부의 원활한 외교적 노력(43.3%), 인력 양성(30%), R&D 지원 확대(13.3%) 등을 꼽았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중원 표심’ 공략 이재명 “충청이 살아야 대한민국 산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