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韓 보조금 1400만원 받고 훨훨 나는 中 상용차

세제 혜택 현대·기아 등 국산차와 동일
싼 가격·빠른 출고로 상용차 시장 선점
11월부터 CKD 형태로 국내 생산까지

 
 
 
 
수입 상용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동풍소콘 마사다. 사진은 전기 픽업 모델. [사진 EVKMC]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 중국 브랜드의 상용차가 한국 시장에 빠르게 안착하고 있다. 국산차와 동일한 세제 혜택, 상대적으로 빠른 출고 기간이 강점으로 떠오르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마음을 뒤흔들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수입 상용차 시장에서는 중국의 동풍소콘이 주목을 받고 있다. 동풍소콘은 중국의 국영기업인 동풍자동차그룹과 민영기업 소콘그룹의 합작회사다. 동풍, 소콘그룹은 각각 5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동풍소콘의 차량은 한국의 공식 수입원인 이브이케이엠씨(EVKMC)가 수입·판매 중이다.
 
올해 들어 동풍소콘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수입 상용차 시장 1위인 볼보트럭과 판매량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동풍소콘이 판매 중인 전기 트럭 ‘마사다’ 덕분이다. 마사다는 2인승과 4인승 밴, 픽업트럭 등으로 구성된다. 38.7kWh 용량의 리튬 인산철 배터리로 한 번 충전해 최대 158km를 달릴 수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8월 마사다의 판매 대수는 955대로 집계됐다. 이 기간 단일 모델 기준으로 수입 상용차 시장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마사다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면서 관련 시장에서 동풍소콘의 위치도 달라졌다. 이 브랜드(955대)는 올해 볼보(1120대)에 이어 수입 상용차 시장 2위로 올라섰다.
 
마사다의 성공 요인으로는 저렴한 가격, 빠른 출고 기간 등이 꼽힌다. 환경부에 따르면 마사다 2인승 및 4인승 밴과 픽업트럭 구매 시 1400만원의 국고보조금이 지급된다. 현대차 포터 EV, 기아 봉고 EV와 동일한 혜택이다. 세제 혜택 적용 시 마사다의 실구매 가격은 최소 1600만원 수준이 된다. 현대차 포터 EV(2190만원), 기아 봉고 EV(2185만원)와 비교하면 훨씬 저렴하다.
 
출고 기간에서도 중국 상용차가 국산 상용차를 앞선다. 마사다의 출고 기간은 한 달 내외로 전해진다. 포터 EV는 계약 후 출고까지 12개월 이상 소요되며, 봉고 EV의 예상 출고 기간은 7개월 정도다.
 
업계 일각에서는 수입 상용차 시장에서 동풍소콘의 영향력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오는 11월부터 명신의 군산공장에서 CKD(반조립제품) 형태로 생산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100% 수입에서 국내 생산이 가능해지면 부품 수급과 공급의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다음 전기차는 값싼 중국차로?

 
컨슈머인사이트가 조사한 중국차 구매 의향 조사. [컨슈머인사이트]
동풍소콘이 수입 상용차 시장에서 호실적을 기록하자, 수입 승용차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하려는 중국 자동차 기업도 생겨나고 있다. 2016년 10월 한국법인 설립 후 전기버스, 지게차 등 상용차를 판매해온 비야디(BYD)가 대표적이다. 이 법인은 전기 승용차 판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복수의 딜러사와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역 인근에 업무 시설도 별도로 마련하고, 차량 인증 관련 인력 등의 채용도 진행했다.
 
그동안 중국 승용차는 한국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했다. 2019년 동풍소콘이 한국 시장에 선보인 SUV 모델 iX5는 초도 물량 100대가 완판됐지만, 이후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단종됐다. 2017년에는 중한자동차가 SUV 켄보600을 출시했지만, 역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국산차 대비 낮은 상품성 등으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은 것이다.
 
그런데도 중국 기업이 한국 승용차 시장에 재진출을 노리는 것은 최근 중국 자동차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가 2년 내 신차 구매 의향이 있는 소비자 2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국산차 대비 가격이 50~80% 수준이면 중국 전기차를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정부의 보조금 정책도 중국 자동차 기업이 한국 시장에 진출하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한국은 국내 생산 여부와 상관 없이 상황별 주행 성능, 판매 가격 등을 기준으로 보조금 지급에 나서고 있다. 자국산 제품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중국, 미국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은 것이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조금 기준이 까다로운 타 국가와 비교하면 한국은 제한이 사실상 없다고 볼 수 있다”며 “국산 브랜드 입장에서는 아쉬울 수 있지만, 다양한 국가의 브랜드 제품이 한국 시장에 유입된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지완 기자 anew@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더리움도 현물 ETF 승인…역대 최고가 갈아치울까

2‘좋은 시절 다 갔다’…실적 악화에 조직개편 나선 게임사들

3확률형 아이템 이슈로 유저 신뢰 잃은 게임사들

4간장 가격도 '쑥'...밥상물가 부담 또 커진다

5공정위 "쿠팡이 소비자 속였는지 조사...PB상품 금지 아냐"

6의대교수단체, "의대 증원 보류 소송지휘권 발동해달라"

7 강형욱 논란 이후 첫 입장..."직원 감시 안 해"

8삼성전자 엔비디아 HBM 테스트 ‘낙방’ 입장문에 ‘특정 시점’ 담긴 까닭

9오뚜기 3세 함연지, 미국법인 입사..."마케팅 업무 담당"

실시간 뉴스

1이더리움도 현물 ETF 승인…역대 최고가 갈아치울까

2‘좋은 시절 다 갔다’…실적 악화에 조직개편 나선 게임사들

3확률형 아이템 이슈로 유저 신뢰 잃은 게임사들

4간장 가격도 '쑥'...밥상물가 부담 또 커진다

5공정위 "쿠팡이 소비자 속였는지 조사...PB상품 금지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