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인공지능 기술로 현장 안전사고 방지한다
‘위험성평가 AI’ 프로그램 도입…작업별 위험요인 파악해 예방
![](/data/ecn/image/2022/09/08/ecncec595bc-640f-4b7a-95f6-49f19b80d9bb.jpg)
롯데건설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기존보다 높은 수준의 선제적 안전관리를 시작했다.
롯데건설은 지난 2일부터 자사와 롯데정보통신이 공동개발한 ‘위험성평가 AI’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위험성평가란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 작업에 대한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대책을 선정, 실행하는 과정을 뜻한다.
‘위험성평가 AI’ 프로그램은 롯데건설과 협력사 소속 안전관리 직원이 현장별로 작업내용과 위험요인을 등록하면 이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각 현장에선 주관적인 종사자 경험에 의존하는 기존 위험성평가에서 발굴하지 못한 위험요인을 추가적으로 찾고 작업별 맞춤 추천을 통해 세밀하게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주요기능은 ▶AI 기반의 건설현장 위험성평가 분석과 KRAS(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 ▶롯데건설 작업 표준 매뉴얼 등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작업별 맞춤 위험성평가 추천 ▶수많은 데이터 속 필요한 데이터를 골라내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컴퓨터가 스스로 외부 데이터를 분석해 학습하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에 따른 위험성평가 오류 탐색 및 적정성 검토 등이 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이번 기술도입을 통해 전 건설 현장의 위험성평가를 분석하여 위험도가 높은 사업장을 우선 지원하고,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는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했다”면서 “기존 업무방식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안전관리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건설 현장의 실질적인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키움증권, AI 기반 웹툰 형식 리포트 ‘리포툰’ 출시
2카드수수료율 ‘3년 만’ 또 인하…사실상 ‘제로’에 카드사 울상
3작년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역대 최대
4두나무, 디지털 악보 플랫폼 운영사 엠피에이지 인수
5증시 짓누르는 좀비기업에 칼 빼든 당국 “구조조정 본격화”
6승객 ‘신뢰’ 저버린 LCC...개선 사안은 ‘산더미’
7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8‘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9‘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