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땡겨요 모두
서울시 다회용기 배달 주문 사업에 참여
강남구, 관악구, 광진구, 서대문구 등 점차 확대
반납 신청된 용기는 세척장에서 살균 후 식당행

앞서 시행한 제로식당 시범사업에 대한 반응은 좋았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범사업 기간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 주문율은 매주 30% 이상 증가했고 올해 1월 이용률은 시범사업 초기인 지난해 10월 대비 약 478%가 증가했다. 시범사업 동안 다회용기 이용 건수는 총 6만7000건을 기록했다.
사업은 지난 8월 29일 강남구를 다시 시작으로 9월에는 관악구, 10월에는 광진구와 서대문구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고, 참여 배달 앱 역시 요기요를 비롯해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땡겨요 등으로 늘었다.

또 요기요 이용자는 메뉴 카테고리 아이콘에서 ‘더보기’를 눌러, ‘다회용기’라는 버튼을 선택하면 되고 땡겨요 역시 배달 아이콘 중 ‘다회용기’를 클릭하면 된다. 이렇게 주문한 음식은 일회용품 포장이 아닌, 스테인리스스틸 다회용기에 담겨 배달된다.

반납 신청이 된 용기는 세척장으로 옮겨져 씻긴 후 다시 식당으로 전달된다. 이용에 따른 별도 보증금이나 추가 비용은 없다. 다회용기 배달을 이용한 30대 직장인 김소라 씨는 “자주 시키는 배달 음식으로 환경적으로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다회용기로 먹으니 친환경적이라 좋다”며 “떡볶이를 시켰는데 용기가 스테인리스라 그런지 일회용품에 담겨왔을 때보다 음식이 더 따뜻해 만족스러웠다”고 말했다.

이 같은 재활용이 어려운 배달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해 시는 다회용기 배달에 참여하는 식당을 기존 70곳에서 연내 550곳까지 늘릴 것을 목표한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번 제로식당 사업은 1회용 음식배달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대표적인 배달 플랫폼들이 참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다회용 배달용기 사용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순살치킨 또 가격인상?…브라질산 닭 공급난 후폭풍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우승 위해 떠난 게 아닌 남은 선수’ SON 향해 현지 매체도 찬사 “벽화로 기려져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렇게 얇은 폰은 처음!"…갤S25 엣지, 슬림폰 열풍 일으킬까[잇써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모태펀드 존속 불확실성 해소될까…이재명 공약에 업계 주목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지투지바이오, 특허무효심판 피소…상장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