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은행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변화에는 디지털 전환·글로벌 확장 등 내부 목표는 물론, 주요국 금리인상 등 외부 요인도 영향을 끼칩니다. 업계 내에선 횡령, 채용 비리와 같은 다양한 사건들도 발생합니다. 다방면의 취재 중 알게 된 흥미로운 ‘금융 은행 동향’을 ‘김윤주의 금은동’ 코너를 통해 전달합니다. [편집자주]
서울 한 은행 지점 내 ATM에 1000원, 5000원권 입금불가 안내 종이가 붙어 있다. [김윤주 기자] 추석 명절에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은행원을 대신한다. ATM에서 현금인출‧잔고조회‧ 계좌이체 등이 가능해 금융기관 영업시간 이외에도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추석 기간에는 ATM을 통한 1000원, 5000원권 지폐입금이 제한되는 등의 주의사항도 챙기는 것이 좋다.
금융권에 따르면 9월 9일부터 12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 은행 일부 지점의 ATM에서는 1000원, 5000원권 입금이 제한된다.
최근 모바일 뱅킹, 카드거래 등으로 현금이용량은 줄고 있지만 연휴에는 금융 기관 창구를 이용하지 못해, ATM으로 고객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2021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선호하는 지급수단은 신용카드지만, 여전히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지급수단은 현금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현금 이용 비중 추이는 비용 기준 2013년 34.8%에서 2021년 14.6%로 줄었다. 하지만 최근 1개월 내 이용경험을 묻는 설문에는 현금이 96.6%로 가장 높았다.
‘최근 한 달 CD/ATM을 이용해 현금을 인출한다’고 응답한 비율 또한 85.0%로, 금융기관 창구 인출(17.9%), 용돈 등을 통한 현금확보(19.0%)를 크게 상회했다. 월평균 인출횟수 및 회당 평균 인출금액의 경우에도 CD·ATM이 각각 2.7회, 14만6000원으로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ATM 이용량이 많아지는 추석에는 기기의 오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에 일부 ATM기기에서는 1000원·5000원 등 일부 권종의 입금을 막고 있다. 1만원, 5만원은 ATM 이용자들이 출금을 하면서 찾아가지만, 1000원·5000원은 ATM 기기에서 찾을 수 없어 기기에 쌓이기만 한다. 기계에 입금 횟수가 늘어 ATM 내 일명 ‘돈통’이 차면 기계가 멈추고, 사람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ATM이 수용 가능한 지폐가 꽉 차거나, 지폐가 기계에 걸리는 등 오류가 나면 기기가 자동 중지되고, 명절 기간 입출금 업무가 마비되기 때문에 일부 ATM에선 명절기간에 1000원, 5000원권 입금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기기를 고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명절기간 급히 현금이 필요한 금융소비자들은 ‘금융대동여지도’ 서비스를 활용하면 된다. 금융결제원에서 제공 중인 기존의 어카운트인포 또는 모바일현금카드 앱에서 서비스를 다운 받을 수 있다. 이용자들은 금융대동여지도 내 ‘ATM/지점 한눈에’ 메뉴를 통해 ATM 위치 정보 등을 확인 가능하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6년 전 결승 멤버 다 떠나고, SON만 남았다…부상 복귀 예고 “피치에서 만나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영원한 ‘뽀빠이 아저씨’ 故 이상용, 오늘(10일) 빈소 마련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북한도 이렇게 안해" "곱게 미쳐라"…국힘 내전 확전일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韓 AI신약개발 진단]① K-신약 인공지능, 美와 격차 벌어지는 까닭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