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이러니 "대기업, 대기업"하지…상반기 평균 임금인상률 9.8%, 중기의 2배
- 상용근로자 월 평균 임금총액 전년比 6.1% 인상
기업 규모에 따라 특별급여 차이↑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022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현황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경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임금 총액은 384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 증가했는데, 이는 지난해 인상률(4.2%)보다 1.9% 높은 수치다.
주목할 점은 기업 규모에 따라 임금인상률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상근 근로자가 많은 대기업이 더 높은 임금 인상률을 기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자 수가 1~4인 기업의 평균 임금인상률이 5%, 5~9인은 4.6%, 10~29인 3.6%, 30~99인 4.5%로 집계됐다. 100~299인 기업은 6.1%, 300인 이상 기업은 9.8%였다.
이런 차이는 특별급여 인상률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소기업의 특별급여 인상률은 12.1%인데 대기업의 특별급여 인상률은 26.2%에 달했다. 1~4인 기업과 10~299인 기업의 특별 급여 인상률은 8.0%, 4.9%로 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임금 총액’ 인상률로는 제조업(8.5%)이 가장 높았고 수도‧하수‧폐기물‧원료재생업(1.6%)이 가장 낮았다. 수도‧하수‧폐기물‧원료재생업의 경우 ‘특별급여’ 인상률이 마이너스(-) 8.1%로 오히려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과학‧기술업과 제조업의 특별급여가 각각 31.7%, 27.6%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인상률 차이가 얼마나 큰지짐작할 수 있다.
대졸 초임도 대기업이 중기 2배
구직‧채용 플랫폼 사람인이 지난 5월 중소기업 898개사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2881만원(세전 기본급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나라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CEO스코어데일리 기준) 4년제 대졸 사원 평균 연봉(5356만원)의 54%로 올해 구직자들의 희망 연봉(3279만원)에도 400만원가량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올해 상반기 우리 기업들의 성과급을 비롯한 특별급여 격차가 규모별, 업종별로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좋은 실적을 거둔 기업이 근로자들에게 성과 보상을 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일부 업종과 기업을 중심으로 한 고액의 성과급이 그렇지 못한 기업의 근로자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주고 사회적 격차를 한층 심화시킬 수 있는 만큼, 합리적 수준에서 조정·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수원, 26조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7일 본계약(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상민, 20년 만에 '재혼'…예비신부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수원, 26조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7일 본계약(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