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 탈모인 울리는 ‘탈모샴푸 허위광고’…왜 반복되나
국내 유통 탈모샴푸 53개, 허위·과대 광고 수준 심각
‘모근강화, 두피회복’ 등 의약품·의약외품으로 혼동
식약처 규제에도 ‘탈모 효능·효과 과장 광고’ 난무

#. 32살 최모씨는 20대 후반부터 시작된 탈모 증상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아왔다. 유명 탈모인 커뮤니티 카페에 가입해 탈모에 좋다는 제품은 모두 사서 사용해 봤을 정도다. 특히 최씨가 신경써서 구매하는 제품은 샴푸다. 매일매일 사용하면서 두피에 직접적으로 닿는 제품인 만큼 비싸더라도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제품을 고른다. 하지만 최씨는 최근 이렇게 고른 샴푸들이 모두 허위·과대 광고 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뒤 적잖은 배신감을 느꼈다. 최씨는 “광고 문구에 혹해서 비싼 돈을 주고 샀지만, 결국 일반샴푸랑 기능성 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 아니냐”면서 과대광고에 대한 불만을 털어놓았다.
탈모인 1000만 시대. 늘어나는 탈모인 만큼 탈모 증상 완화를 돕는 기능성 제품 경쟁이 치열해 진 가운데, 시중에 유통 중인 탈모 샴푸의 허위·과대 광고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탈모 질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샴푸 관련 시장 규모만 8000억 원에 육박하는 만큼 탈모 샴푸에 대한 보다 엄격한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탈모샴푸 절반이 ‘모발 수 감소’ 표현…허위광고 난무
이 단체에 따르면 전체 탈모샴푸 제품 중 25개에 해당하는 47%는 ‘탈락 모발 수 감소’라고 표현했고, 20개에 해당하는 38% 제품은 ‘증모, 발모, 양모, 모발성장, 생장촉진, 밀도증가’ 등을 기재해 탈모 치료가 가능한 것처럼 허위광고를 했다.
탈모샴푸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 고시한 탈모방지 기능성 성분이 일정 함량 이상 들어가고, 제품 규격 및 제조 과정이 규정에 적합할 경우 허가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탈모방지 기능성 성분이 일정 함량 이상 함유되었다고 해서 효과가 증명된 것은 아니다. 식약처도 해당 성분이 들어갔다고 해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모근 강화, 모낭 강화, 머리 빠짐 개선, 두피 회복’ 등의 표현으로 탈모샴푸를 의약품으로 오인하기 쉽다는 것이다. 90년대부터 운영된 한 탈모인 커뮤니티 카페에는 샴푸의 탈모 증상 완화 기능에 대해 기대했으나 이에 불만족해 “속았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해당 카페 한 회원은 “탈모샴푸의 평점을 매겨 공유하는 카테고리가 있는데, 총 5점 만점에 평점 3.0을 넘는 제품을 찾기가 어렵다”면서 “의약품으로 착각하고 샀는데 실질적인 효과를 못 본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적발되도 3개월”…느슨한 규제와 솜방망이 처벌이 원인
탈모샴푸 과장광고가 난무하고 있지만 식약처 고시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9월현재까지 행정처분을 받은 탈모샴푸 업체는 총 7곳에 그쳤다. 위반 내용은 ‘인터넷을 통해 판매하면서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내용, 제품의 명칭 및 효능·효과 등에 대한 광고를 한 사실이 있음’이다. 이들 탈모샴푸 판매 업체는 모두 ‘광고업무정지 3개월’ 처분에 그쳤다.
실제 카론 바이오는 ‘카론 바이오 C3 샴푸’을 인터넷을 통해 판매하면서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내용, 제품의 명칭 및 효능·효과 등에 대해 광고를 해 화장품법 제13조에 의해 해당 품목 광고업무정지 3개월 처분을 받았다.
듀얼라이프 또한 '다모애 테라피 골드 샴푸'를 자사 판매사이트에 광고하면서 고객 후기를 발췌해 ‘머리도 덜 빠지고’라는 표현 등을 사용해 소비자가 해당 상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하게 했다. 이는 사실과 다르게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잘못 인식하도록 할 우려가 있는 표시 또는 광고로 확인돼 광고업무정지 4개월 처분을 받았다.
화장품법 제 13조(부당한 표시, 광고행위 등의 금지)에 따르면 1차 위반 시 해당 품목 판매업무 정지 3개월(표시위반) 또는 해당 품목 광고 업무정지 3개월(광고위반)의 행정처분을 받는다. 이후 2차 위반 시 6개월, 3차 위반 시 9개월의 해당 품목 광고 업무정지 처분을 받게 된다. 판매업무 정지 3개월의 강력한 행정 처분은 광고업무정지 기간에 광고업무를 할 경우 1차 위반 시시정 명령을 거친 뒤 2차 위반을 하면 받게 된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소비자 심리를 이용해 탈모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고 허위·과대 광고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지나치게 효과를 장담하는 문구가 포함되거나 증명할 수 없는 광고, 공인된 기관(식품의약품안전처, 지방자치단체 등)이 아닌 사설 기관 및 업체에서 인증받은 내용을 광고하는 제품은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송재민 기자 song@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