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대한상의 "규제 개선해 전략산업투자 경쟁력 회복 해야"

우리나라 유니콘기업 순위, 11위로
2019년 5위에서 6계단 하락

 
 
대한상공회의소는 6일 상의회관에서 ‘전략산업투자, 글로벌 동향과 제도개선과제’를 주제로 ‘공정경쟁포럼 특별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신현윤 연세대 명예교수와 주요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 대한상의]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이 대규모 펀딩을 활용한 전략산업투자에 나서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규제 탓에 글로벌 트렌드에서 밀리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6일 상의회관에서 ‘전략산업투자, 글로벌 동향과 제도개선과제’를 주제로 ‘공정경쟁포럼 특별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미국 투자펀드 운영경력이 있는 영주닐슨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 SKK GSB 교수와 주진열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주제발표를 맡았다.  
 
닐슨 교수는 “미래 경쟁력 있는 핵심기술에 대한 기업들의 직접투자는 최근 이슈되고 있는 산업안보와 기술주권, 더 나아가 국가안위의 관점에서 필수적”이라며 “이외에도 전략산업투자가 곧 다수의 유니콘기업이 출현할 수 있는 밑거름이라는 점에서 재무적 관점의 필요성도 크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국가별 유니콘기업 순위는 2019년 5위에서 2022년 11위로 떨어졌다.
 
패널로 참석한 구자현 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장은 “그동안 우리 벤처생태계에서는 스케일업이 용이한 플랫폼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VC자본이공급돼 왔는데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고 경제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첨단전략기술 기반 딥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주진열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공정거래법상 금산분리 규제 폐지‧완화 필요성’를 주제로 일반지주회사의 금융사 주식 소유 제한 완화 등 공정거래법상 규제를 중심으로 제도개선과제를 제안했다.
 
주 교수는 “글로벌 경쟁 현실에 눈감고 국내 대기업이 오로지 규모가 크다는 이유로 공정거래법으로 무작정 규제하면 결국 우리나라 성장 잠재력을 스스로 해치는 꼴”이라며, “특히 일반지주회사의 금융사 주식 소유를 금지하는 공정거래법 때문에 미래 성장에 요긴한 해외 첨단기술 인수가 가로막힐 수 있어 해당 조항의 폐지를 검토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반면, 유영국 국회 입법조사관은 “공정거래법상 금산분리 규제는 타인자본을 활용한 과도한 지배력 확대, 금융‧산업간 시스템 리스크 전이, 금융자본을 이용한 계열회사 지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경제력 집중 억제 시책으로서의 고유한 목적이 있다”며 “일반지주회사가 금융회사를 통해 타인자본을 지배력 확장에 이용할 우려가 있는 만큼 금산분리 규제 완화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 글로벌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하면서 미래전략산업 기술이 곧 외교이자 안보, 나아가 국력인 시대로 접어들었다”며 “기술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제도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무역협회, 32대 회장단 출범

2액션스퀘어, 일본서 던전스토커즈 FGT 진행…“PvP 퀄리티 호평”

310조원 들어간 LH 매입임대 사업…‘혈세 낭비’ vs ‘불가피’

4우리금융, 10년 만에 증권업 진출…“우리종금-포스증권 합병”(종합)

5'의류기업' 노브랜드 “디자인·생산 역량에 디지털·AI 입힌다”

6영감 가득한 예술 문화가 어우러진 스페인 로컬 여행

7영풍 장녀, 13억에 영풍문고 지분 30% 획득한 사연

8LF 하프클럽, ‘하프세일절’ 개최

9풍부한 배후수요 갖춘 '반도아이비플래닛' 단지 내 독점 상가로 주목

실시간 뉴스

1한국무역협회, 32대 회장단 출범

2액션스퀘어, 일본서 던전스토커즈 FGT 진행…“PvP 퀄리티 호평”

310조원 들어간 LH 매입임대 사업…‘혈세 낭비’ vs ‘불가피’

4우리금융, 10년 만에 증권업 진출…“우리종금-포스증권 합병”(종합)

5'의류기업' 노브랜드 “디자인·생산 역량에 디지털·AI 입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