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투 “유동성 고갈 우려는 측정 가능한 위험”

20일 금융투자업계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앞서 롯데건설 등 일부 건설사들이 유동성 확보 목적으로 주주대상 증자계획을 공시했다. 이후 투자자들 사이에 막연했던 우려가 뚜렷해지면서 건설사들의 주가는 약세로 전환한 상태다.
이에 대해 강경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분양경기 악화 시기에 건설사들이 증자를 택하는 이유는 두 가지”라며 “시공사 연대보증 조건 브릿지론 유동화증권의 차환이 어려워지거나, 본 PF 단계로 넘어가지 못한 미착공 PF 인수 가능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시공사 보증물이 시장에서 원활하게 소화되지 않고 회사채 발행 환경 또한 여의치 않은 상황은 부인할 수 없는 악재”라며 “미착공 PF 잔액의 일정 비율을 금융보증충당부채로 설정하면서 회계상 공사원가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 또한 우려”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앞서 증자에 나섰던 GS건설의 사례를 감안하면 건설사들에 대한 도산 우려는 지나치다는 게 강 연구원의 생각이다.
2013년 말 기준 GS건설의 연대보증 PF 대출잔액은 1조4808억원으로, 이 가운데 착공하지 못한 11개 사업장에 대한 보증액은 1조3677억원에 달했다. 이에 회사는 2014년 2월 유상증자 검토 계획을 알렸고, 2달 뒤 신주 2000만주를 발행하겠다고 공시했다. 당시 청약은 실권 없이 양호하게 마무리됐고, 5500억원대의 성공적인 증자에 힘입어 주가는 빠르게 반등했다.
이에 대해 강 연구원은 “대형 시공사 도산을 내다보는 것은 다소 앞서간 추측”이라며 “주택 공사, 분양 경기와 관련해 건설사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악재는 올해 다 반영된 만큼 건설 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박경보 기자 pkb23@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