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둔화·금리상승에…민간소비 회복 속도 둔화
초과저축 일부 소비재원 활용 가능성도
회복경로 하방 압력 더 커질수도
빠르게 회복 중인 민간소비 증가세가 고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등으로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완다.
한국은행은 20일 ‘향후 재화, 서비스, 해외소비의 회복경로 점검(BOK 이슈노트)’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방역 조치가 해제된 지난 4월 이후 대면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민간소비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서비스 소비는 올해 2분기 기준으로 코로나19 사태 이전 추세 대비 96%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소비는 출입국 방역조치 완화 등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과거 추세의 28% 수준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최근 임금 상승 속도 둔화 등으로 실질구매력 증가세가 약화되고 있고, 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으로 인한 역 자산효과가 발생해 향후 소비 회복을 제약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축적된 초과저축 중 일부가 소비재원으로 활용되면서 소득 충격을 완화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초과저축 규모는 2021년 기준 민간소비의 약 10% 규모로 추정됐다.
형태별 소비 여건을 분석하면 향후 금리 상승 및 소비심리 부진은 선택적 소비의 성격이 강한 내구재 등 재화서비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비스소비도 그동안 회복세를 이끌었던 보복·지연 수요가 점차 해소되면서 회복 속도가 둔화할 것이란 설명이다.
반면 그동안 과거 추세 수준에 크게 못 미쳤던 해외소비는 최근 각국의 입국규제 완화, 항공사의 국제선 증편 등으로 회복세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오태희 한국은행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향후 민간소비는 펜트업(보복소비) 효과에 힘입어 해외소비가 크게 확대되겠지만 재화소비는 부진하고 서비스소비의 회복 흐름도 약화하면서 점차 둔화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보고서는 향후 글로벌 경기 둔화, 금리 상승 속도 및 폭에 따라 민간소비 회복경로에 하방 압력이 더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기준금리 상승시 가계의 이자수지 적자폭이 확대되면 민간소비 여력이 축소된다. 아울러 가구별 원리금상환부담(DSR) 분포를 감안할 때, 금리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취약가구의 채무부담이 크게 늘어 소비여력 또한 급격히 위축될 수 있다.
아울러 오 과장은 “금리 상승이 경기 부진과 자산가격 급락, 고용 사정 악화 등으로 이어질 경우 민간소비에 대한 영향은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감기 증세랑 비슷'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캄보디아서 20대 남성 사망
2LA 산불로 88조원 손실 추정…‘박찬호’ 자택도 전소
3"양자컴퓨터 발언 의미는…" 젠슨 황 발언, 돌려서 지적?
4성폭행 실패하자 흉기로…도주한 20대 군인 구속
5 제주항공 사고기 음성기록장치, 충돌 4분 전부터 “저장 無”
6부부 연기가 현실로...20년 만에 재결합 “묘한 인연 느껴”
7‘탄핵 딱 질색이니까’ 노래 부르는 윤대통령 등장 ‘화들짝’
8속도가 도시를 바꿀까
9‘가짜 면허 파문’ 파키스탄 항공…‘에펠탑 여객기 충돌’ 광고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