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거리두기 없는 올해 핼러윈 키워드는 ‘이벤트·축제·공연’

KB국민카드 비정형데이터 분석 결과
코스튬 쇼핑 노출 단어는 망토·모자·마스크 순

 
 
31일까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지하 1층에서 판매되는 핼러윈 홈파티 상품. [사진 신세계백화점]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3년 만에 맞이하는 올해 핼러윈 키워드는 이벤트·축제·공연 등으로 나타났다.
 
KB국민카드가 오는 31일 핼러윈을 맞아 비정형데이터 분석 플랫폼 에이비(AiBi)를 활용해 핼러윈 관련 최근 3년간 뉴스 기사와 올해 9~10월 온라인 쇼핑몰의 품목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뉴스에 많이 사용된 단어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첫해였던 2020년은 ▶마스크 ▶금지가 많이 사용됐으며 ▶코스튬 ▶파티 ▶영화 ▶문화 등이 뒤를 이었다. 2021년은 ▶방역 ▶확진 ▶백신 ▶게임 ▶오징어 ▶이태원 ▶거리 등의 단어도 빈번하게 쓰여 감염 예방을 위한 노력과 핼러윈 데이를 즐기기 위한 탐색이 공존했음을 알 수 있었다.
 
2022년 핼러윈 뉴스 키워드. [사진 KB국민카드]
올해는 ▶이벤트 ▶축제 ▶공연 ▶게임 ▶행사 ▶체험 등 단어 빈도가 높았다. 코로나19 이전처럼 축제, 공연 및 놀이동산 이벤트가 기획되는 등 핼러윈을 즐기기 위한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올해 9월 1일~10월 20일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한 핼러윈 관련 품목을 카테고리별로 보면 ▶이벤트 소품(32%) ▶코스튬 소품(24%) ▶아동의상(22%) 순으로 나타났다.
 
핼러윈 카테고리별 연령대별 매출건수 비중. [사진 KB국민카드]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서 30대는 모든 품목 카테고리(이벤트 소품 49%, 코스튬 소품 50%, 아동의상 63%)에서 가장 많은 매출건수 비중을 차지해 핼러윈 용품 소비의 핵심 고객층으로 떠올랐다.
 
‘코스튬 소품’에 가장 많이 노출된 품목명 단어는 ▶망토 ▶모자 ▶마스크 ▶머리띠 ▶가면 ▶호박 ▶마녀이며, ‘이벤트 소품’은 ▶호박 ▶풍선 ▶유령 ▶장식 ▶바구니 등이었다. 아동의상 카테고리는 ▶공주 ▶마녀 ▶포켓몬 ▶원피스 ▶드레스 등으로 나타났다.
 
핼러윈데이 이태원거리 주요 업종 시간대별 매출액 비중. [사진 KB국민카드]
아울러 핼러윈 당일 이태원 거리 음식점 매출액이 높은 시간대는 18~21시(33%), 주점은 21~24시(37%)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매출액 비중이 주점 71%, 음식점 63%로 이태원 거리에서 핼러윈을 즐기는 주 연령대는 20대로 나타났다.
 
KB국민카드 데이터전략그룹 관계자는 “향후에도 카드 매출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상생활 속 데이터 분석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