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성차업체 평균 할부 금리 6.1%…10% 돌파 전망도
“경기 침체 따른 車 수요 위축 금리 인상이 부추길 것”

2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자동차, 쌍용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제공하고 있는 장기(60~72개월) 할부 프로그램의 평균 금리는 6.1%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비슷한 시기 금리가 평균 3%대 중반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2배 가까이 치솟은 셈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르노코리아(60개월)와 쌍용자동차(60개월)의 할부 프로그램 금리가 6.9%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기아(60개월) 6.1% ▶현대차(60개월) 5.9% ▶쉐보레(72개월) 5.6% 순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현재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진다면 연말에는 할부 금리가 10%를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한국 시간으로 오는 3일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이 단행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 완성차업체 소속 영업사원은 “지난 1일부로 할부 금리가 일제히 올랐다”며 “다음 달에도 큰 폭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법인 고객의 경우 할부 금리가 9%에 육박한다”며 “일부 고객 중에는 높아진 금리 탓에 취소하는 경우 있다”고 덧붙였다.
장기적인 수요 감소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에 따른 완성차 수요 감소를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 증권가에서도 금리 인상에 따른 자동차 업체들의 조달금리 상승이 소비자들의 할부·리스 비용 증가 요인으로 작용해 완성차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경기 침체 우려로 지갑을 닫는 소비자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은 수요 위축을 더욱 가속화 하는 요인”이라며 “장기적인 수요 감소에 따른 완성차업체들의 대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완성차업체 “걱정할 수준 아니다”
실제 현대차와 기아만 보더라도 글로벌 백오더 물량이 3분기 말 기준 각가 100만대, 120만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국내 물량은 현대가 67만대, 기아가 60만대 수준이다. 한국GM과 르노코리아, 쌍용차는 구체적인 백오더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반도체 공급난으로 차량 출고 지연이 1년 이상 지속됐던 점을 고려하면 대기 물량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대기 수요가 충분하고 아직까지 금리 인상에 따른 계약 취소 사례가 많지 않다”며 “일부 고객의 이탈이 있을 수는 있지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14배 폭등' 상지건설 상한가 행진 멈췄다...12.22% ↓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태연, 日 도쿄 공연 이틀 앞두고 돌연 취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86만원 신고가 찍은 한화에어로…외국인 또 담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