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생명과학R&D, ‘마약류 취급 학술연구자’ 승인…치료제 개발 속도
환각성 없는 칸나비디올 성분 활용

국내에서는 학술 연구를 위해 마약이나 향정신성의약품을 사용해야 할 때, ‘마약류 취급 학술연구자’로 지정된 연구 기관에 대마의 재배와 수입 사용을 허가하고 있다.
HLB생명과학은 지난 4월 대마에서 추출한 천연화학물질 ‘칸나비노이드’ 성분을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네오켄바이오와 공동 연구개발 협력을 체결했다. 네오켄바이오는 고순도 대마 성분 생산 플랫폼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 기업이다.
HLB생명과학R&D는 마약류 취급 학술연구자로 허가받으면서 대마 추출 성분으로 여러 치료제를 연구할 수 있게 됐다. HLB생명과학은 암과 뇌전증, 치매, 파킨슨병 등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할 계획이다.
대마는 환각성이 있는 THC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이 금지돼 있다. 그러나 대마에 함유된 칸나비디올(CBD) 성분은 환각성이 없어 미국과 유럽에서 소아 뇌전증 치료제로 허가, 실제 환자에 처방되고 있다.
식약처는 지난 8월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를 발표하고 오는 2024년 말까지 마약류 관리법을 개정해 의료용 대마 제조, 수입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관련해 국내 의료용 대마 시장도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CBD 관련 시장은 오는 2028년 약 1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용해 HLB생명과학 대표는 “국내 기업들이 의료용 대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고순도 대마 소재를 수급하고, 관련 연구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HLB생명과학R&D는 대마 추출 성분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것은 물론 연구시설 구축, 마약류 학술연구 허가 신청을 진행해온 만큼 난치성 치료제 개발을 선도하겠다”고 했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2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3“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4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5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
6산업차관 “美 관세 조치 따라 업종별 추가대책 마련할 것”
7미래에셋증권 3670억원 주주환원…역대 최대 규모
8위메이드, 신작 MMORPG ‘레전드 오브 이미르’ 정식 출시
9대구 시내버스 노선 10년 만에 개편... "배차 간격 줄이고, 외곽-도심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