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 2% 오토할부 금리→11월 6%대로 ‘껑충’
고신용자 대상 카드할부도 6~7%대 진입
카드사 車할부 시장 6년 새 4배 이상 성장
조달금리 상승에 카드사 “할부 규모 줄인다”

이에 석 달 전까지만 해도 쉽게 찾을 수 있던 연 2%대 오토할부 상품은 종적을 감추고 이제는 8%대 상품이 나오기 시작했다. 10%대 금리가 가까워진 가운데, 카드사들은 결국 자동차 할부금융 서비스를 줄이는 추세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7일 여신금융협회 공시정보포털에 따르면 이달 국내 주요 카드사의 오토할부 금리는 6%대 수준을 나타냈다. 오토할부는 신차를 살 때 최대 1억원까지 카드사가 대출해주는 상품이다.
현대자동차 그랜저를 현금 구매 비율 10%, 대출 기간 36개월 기준으로 구매할 경우 삼성카드에서는 연 6.6% 금리를 내야 한다. 같은 조건에서 KB국민카드는 6.3~6.4%, 하나카드는 5.3~6.5%로 나타났다.
다른 카드사의 경우 최고 금리가 8%대를 훌쩍 넘기기도 했다. 신한카드는 최저는 6.7%였지만, 최고 8.6%로 나타났으며, 우리카드도 6.9~9.1%로 최고 금리가 높게 나타났다. 롯데카드의 경우 8.7%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지난 10월 불과 4%대였던 오토할부 금리가 한 달 만에 약 2배 뛴 것이다. 심지어 지난 7월 롯데카드의 오토할부 최저 금리는 2.9%(36개월 할부 기준)로 3%를 넘지 않았다.
고신용자(1~3등급)을 대상으로 하는 카드할부 금리도 예외는 아니다.
카드할부는 신용카드 할부로 신차 구매 대금을 나눠 낼 수 있는 상품이다. 자동차를 담보로 잡지 않고 ‘대출’로도 취급되지 않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강화된 이래 합리적인 자동차 구매 방법으로 인기를 끌어왔다.
카드할부도 서너 달 전에는 연 2%대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제 오토할부와 마찬가지로 연 6~7%대로 치솟았다. 롯데카드는 지난 10월 연 5.5%였던 금리를 이달 들어 연 7.9%로 인상했다. 삼성카드도 10월 연 5.1~5.2%였던 금리를 이달부터 연 6.1~7%로 올렸다.
덩치만 커진 車할부 시장, 속은 타들어가

이처럼 자동차 할부 시장의 규모가 커졌지만, 앞으로도 성장세를 구가할지는 미지수다. 최근 잇단 기준금리 인상으로 카드사의 조달비용이 상승한 데다가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채권시장 심리가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은행과 달리 수신기능이 없어 여신전문금융채권(여전채)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다. 그런데 이 여전채 금리가 전 세계 금리 인상 기조에 덩달아 큰 폭으로 올랐다.

이런 조달비용 상승에 카드사들은 자동차 할부 금리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 상황이지만, 수익을 기대하지 않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높은 금리를 주고도 자금을 조달하기가 어려워진 상황”이라며 “일부 회사는 금리를 높여 사실상 ‘디마케팅(고객 구매를 의도적으로 줄이는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 대통령 소년원 증거? 기밀” 모스 탄에…"음모론 그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소시 태연 아냐' 김태연 측 "강한 유감"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411㎜ 괴물 폭우' 물바다 된 광주…최고 400㎜ 더 온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열심히 달린 회사채 시장…여름 휴가철 쉬어간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글 픽’ 멧세라, 디앤디파마텍 통해 경구용 비만약 강자로 도약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