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신한자산운용 “내년 경기둔화 지속…ROE 높은 채권형 주식에 주목”

2023년 펀드시장 전망 보고서 발간

 
 
신한자산운용이 2023년 펀드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 신한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은 ‘2023년 펀드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2019년부터 4년째 보고서를 내고 있는 신한자산운용은 높아진 금리와 경기둔화의 환경에서 펀드 시장에 영향을 주는 4가지 이슈를 분석했다. 
 
송태헌 신한자산운용 상품전략센터 수석부장은 “내년 경기국면은 경기 둔화 및 고물가가 지속될 것이며, 경기가 역성장 수준 침체에 빠지지 않는 한 통화완화 시점도 늦춰지고 속도도 완만할 것”이라며 “금리 상승으로 안전자산 중심의 자산배분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금리 상승 환경에서 주가가 고점 대비 많이 하락한 것을 고려해 평균 매입가격을 관리할 수 있는 적립식 투자가 적합할 것”이라며 “고금리 환경에서 기업간 펀더멘털의 차별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꾸준한 자본적지출을 유지하고 높은 ROE를 유지해 순자산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채권형 주식에 주목해야 한다는 게 송 부장의 설명이다. 
 
연금 상품 중에서는 TDF(타겟데이트펀드)를 강조했다. 그는 “타깃데이트펀드(TDF) 중 설정액이 가장 많은 2025상품의 타깃 데이트가 3년 앞으로 다가왔다”면서 “매월 발생한 인컴수익을 분배하는 정기적 분배금 상품이 ETF에 이어 퇴직연금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월지급에 대한 수요는 올해 출시된 ‘월지급 ETF’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지난 6월 신한자산운용이 국내 최초 월배당 ETF인 ‘SOL 미국S&P500 ETF’를 출시한 이후, 반 년 만에 7000억원대 시장이 형성됐다.
 
한편 ESG 투자에 대해서는 “2022년 지속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됐으나 순유입 기조는 유지됐고, ESG 외 펀드들에서는 자금유출이 지속된 것을 고려하면 ESG 테마 자체의 퇴조로 보기에는 시기상조”라고 평가했다. 
 
이어 “ESG가 실행 단계로 넘어가면서 현실에서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등 성장통을 겪는 단계”라며 “탄소중립 및 배출량 관련 이슈는 표준 및 규정 마련으로 구체화되는 등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고 덧붙였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韓 최고 대학-기업, AI 고도화 추진…삼성, 서울대 ‘연구센터’ 설립

28번째 무산된 ‘제4이동통신’ 꿈...법정 다툼 예고

3크나우프 석고보드, 임직원 안전 인식 제고 위한 오픈하우스 개최

4투다리, 티아라 출신 효민 개발 ‘효민사와' 전국 매장 입점

5 中, EU산 돼지고기·부산물 반덤핑 조사 개시

6네이버, 사우디서 또 축포?…아람코 ‘5G 특화망’ 진출에 협력 기대↑

7노소영 측 “최태원 송사, 회사 차원 대응은 부적절…침소봉대 유감"

8bhc, 튀김유 공급가 내린다…“4500원 인하”

9스마일게이트-엔픽셀,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체결

실시간 뉴스

1韓 최고 대학-기업, AI 고도화 추진…삼성, 서울대 ‘연구센터’ 설립

28번째 무산된 ‘제4이동통신’ 꿈...법정 다툼 예고

3크나우프 석고보드, 임직원 안전 인식 제고 위한 오픈하우스 개최

4투다리, 티아라 출신 효민 개발 ‘효민사와' 전국 매장 입점

5 中, EU산 돼지고기·부산물 반덤핑 조사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