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스트 “카티스템, 슬개골 연골 결손 적용 연구 학술지 게재”
연골재생 효과 확인…임상적 개선 보여

무릎관절은 대퇴골(무릎 윗부분 뼈)과 경골(무릎 아랫부분 뼈), 슬개골로 이뤄져 있다. 무릎 연골 손상은 통상 대퇴골과 경골의 연골 손상을 말한다. 슬개골 안의 연골이 손상되기도 한다. 슬개골 연골은 무릎에 있는 연골 중 가장 두꺼운 연골이다. 파열되기도 어렵고 손상된 연골을 재생시키기도 쉽지 않다.
이번 연구는 슬개골 연골이 결손된 15세 남성에게 카티스템을 투여한 후 24개월간 추적 관찰한 결과다.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연골 재생을 확인했고 장기적으로 연골 재생 효과가 지속함을 입증했다. 관절 통증 지표인 신체 기능의 경과별 개선(WOMAC)과 주관적 통증 완화(VAS), 관절의 기능 개선(IKDC)에서 모두 유의적인 임상적 개선을 나타냈다는 설명이다.
WOMAC은 카티스템 치료 전과 24개월 후를 비교한 결과 74에서 3으로 71의 변화를 보였다. WOMAC은 통증과 뻣뻣함, 일상생활의 어려움 등을 점수화한 지표다. 높을수록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VAS도 24개월 후 8에서 2로 떨어졌다. 통증이 없으면 0으로 통증이 극도로 심하면 10으로 표시한 지표다. IKDC도 5.8에서 90.8로 개선됐다.
슬개골 연골 결손은 자가연골세포이식술(ACI)이나 자가골연골이식술(OAT) 등으로 치료한다. 그러나 이런 치료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환자의 연골 일부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카티스템은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로 원하는 시간에 동일한 규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자가 연골을 손상시키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송준섭 원장도 “이번 연구를 통해 슬개골 연골 결손 환자들에게 카티스템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카티스템을 활용해 연골 재생 치료가 가능해졌지만, 미리 관절 주변 근육을 단련하는 운동을 통해 건강을 챙겨야 한다”고 했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증시, FOMC 의사록 여파에 강보합 마감
2“고물가에 아침밥 부담”...GS25, 저렴한 ‘바삭 김밥’ 재출시
3롯데온, 앞당긴 ‘온세상 쇼핑 페스타’ 큰 호응
4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5“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6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7“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8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9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